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北 10번째 발사체는 330㎞ 비행…신형무기 '내륙횡단' 가능성(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당국 "발사체 최대고도·최대속도 등은 추가 정밀분석 필요"

北, 美에 대화 제의 속 '안보우려 해소' 의제화 시도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준삼 기자 = 북한이 10일 오전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두 발은 330㎞를 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발사체는 서쪽 내륙에서 동해 쪽으로 발사됐다는 점에서 최근 공개된 '초대형 방사포' 등 신형무기체계의 내륙관통 시험이 진행됐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53분경, 오전 7시 12분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됐다.

합참은 이 발사체의 최대 고도와 비행속도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북한 미상 발사체 발사(종합)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합동참모본부는 10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53분경, 오전 7시 12분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됐다. jin34@yna.co.kr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를 쏜 건 지난달 24일 함경남도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단거리 탄도 미사일급)'를 발사한 지 17일 만이다.

올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벌써 10번째 발사에 해당한다.

아직 이번 발사체의 탄종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지난 7월 이후 잇따라 발사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나 '초대형 방사포'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일단 발사지점이 평안남도 내륙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새로운 무기라기보다는 북한이 지난 7, 8월 발사한 4종의 신무기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중에서도 지난달 10일, 16일 잇달아 시험 발사했지만, 아직 내륙횡단 시험발사를 하지 않은 이른바 '북한판 에이태킴스'나 지난달 24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지난 5월 4일 첫 시험발사 이후 최소 5번 발사가 이뤄졌고, 내륙을 가로지르는 시험발사도 진행된 바 있다.

북한이 미국을 향해 대화 메시지를 발신한 직후 또다시 무력시위를 벌인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북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전날 밤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9월 하순경 합의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미국 측과 마주 앉아 지금까지 우리가 논의해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토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북한이 안보 우려 해소를 위한 상용무력(재래식 무기)의 지속적인 개발 의지를 보임으로써 북미협상에서 안전보장 문제를 의제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그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처럼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미사일이 아니라면 크게 문제가 될 게 없다는 반응을 보여왔지만, 이들 신형무기는 한국군뿐 아니라 주한미군에도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북한이 지난 5월부터 9차례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급 발사체는 모두 신형무기로 추정된다. 고체연료, 이동식 발사대(TEL)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동성과 은밀성이 대폭 강화한 무기체계로 평가된다.

이들 발사체의 사거리는 250∼600㎞로, 평택 주한미군 기지와 육·해·공군 3군 통합기지인 충남 계룡대, F-35A 스텔스 전투기 모기지인 청주 공군기지, 경북 성주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 등이 모두 타격 범위 안에 있다.

합참은 "현재 우리 군은 추가발사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북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 행위는 한반도 긴장 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js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