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기장군 "일광해수욕장 흙탕물 일광신도시 저류지서 나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도시공사 "법정 농도 지켜 배출…물빛도 서로 달라" 반박

연합뉴스

일광신도시 저류지 흙탕물 모습
[부산 기장군 촬영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 일광해수욕장 '흙탕물 소동' 원인이 일광신도시 조성공사 탓이라는 기장군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장군은 현장 점검 결과 일광신도시 택지개발사업장 내 저류지에서 가라앉지 않은 흙탕물이 배출돼 삼성천·일광천을 거쳐 일광해수욕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했다고 18일 밝혔다.

저류지는 일광신도시에서 발생한 흙탕물들이 일차적으로 모이는 곳으로, 유입된 물은 침전물을 가라앉힌 뒤 강으로 배출된다.

기장군이 공개한 사진에는 이곳의 흙탕물이 하천으로 흘러드는 모습이 담겼다.

연합뉴스

기장군 "저류지 흙탕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습"
[기장군 촬영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당초 해수욕장 인근 주민들은 "문제의 흙탕물이 한 달 전 기장군에서 해변 모래보강작업을 한 탓에 발생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지만, 군은 이 작업과는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흙탕물이 나타난 곳과 모래보강이 이뤄진 곳은 인접해 있지 않고, 파도가 닿지 않는 부분만 모래를 보강했다는 설명이다.

기장군은 "일광신도시 사업자인 부산도시공사와 택지개발사업자에게 흙탕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대책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장군 "흙탕물이 해수욕장으로 들어가는 모습"
[기장군 촬영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산도시공사는 기장군 조사 결과에 반발하고 있다.

부산도시공사 관계자는 "현재 저류지 주변서 둘레길과 데크 로드를 조성하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유입수가 바로 (강으로) 나가는 부분은 있다"며 "하지만 공정률이 98%에 달해 공사가 대부분 끝났고 사후 환경영향조사에 따른 법정 농도 이내에서 배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논밭 등 흙탕물이 들어올 수 있는 유입경로는 매우 다양하다"고 밝힌 뒤 "해수욕장 흙탕물과 신도시 흙탕물의 빛깔이 서로 다른 점 등을 고려할 때 해수욕장 보강 작업이 원인일 수도 있다"고 반박했다.

read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