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관세폭탄 던진 트럼프… 중국과 무역협상 난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협상 하루 더 진행… 비관론 우세
한국일보

류허 중국 부총리가 9일 워싱턴 미국 무역대표부(USTR) 청사에서 첫 날 무역협상을 마치고 떠나면서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결국 10일 0시1분(한국시간 오후 1시1분)을 기해 2,000억달러(약 235조원)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대폭 올렸다. 중국도 보복 조치를 거론하며 맞섰다. 무역협상을 하루 더 진행할 예정이지만 미국이 중국 협상단의 재량권을 불신하고 있어 최종합의 도출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미중 무역협상단은 9일(현지시간) 저녁 워싱턴 미 무역대표부(USTR) 청사에서 1시간30분 가량 막바지 협상을 벌였다. 양측은 업무 만찬도 함께 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10일 아침 협상을 재개한다”며 협상의 동력이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대로 2,500억달러(약 294조원) 규모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25%로 끌어올렸다. 지난해 9월 10%만 부과했던 2,000억달러 중국 제품의 관세를 같은 해 7월 500억달러(약 59조원) 규모에 부과했던 25%로 상향조정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로 3,250억달러(약 382조원) 수입품에도 25% 관세 부과를 경고한 상태다.

중국은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을 통해 유감을 표명하며 “어쩔 수 없이 보복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세부 방안을 내놓지 않은 채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재차 촉구했다. 이는 지난해에 대미 수입규모(1,200억달러, 약 141조원)에 육박하는 1,100억달러(약 129조원) 규모 미국산 제품에 5~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한 터라 추가 여력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중국이 기존 보복관세 인상을 포함해 600억달러(약 71조원)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ㆍ기계류 등에 반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양국이 극적인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우선 예정대로 이틀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미국이 이번 관세 인상을 ‘10일 0시1분 이후 중국을 떠난 제품’부터 적용키로 해 중국 수출품이 배편으로 미국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3~4주의 시간도 벌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합의가 이뤄지면 트럼프 대통령이 인상된 관세를 소급해서 철회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협상에 앞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으로부터 매우 아름다운 친서를 받았으며 아마 시 주석과 통화할 것”이라고 분위기를 띄웠다. 협상 타결이 가능하다고도 말했다. 동시에 그는 “관세는 내가 수년간 말해온 대안”이라며 “우리는 1년에 수백억달러를 (관세로)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막판까지 중국을 들었다 놨다 한 것이다. 중국 협상팀을 이끌고 온 류허(劉鶴) 부총리는 “관세 인상은 좋은 해결책이 아니다”며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현재로선 협상 결과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첫날 협상에서 아무런 진전이 없었던 건 미국이 특사 자격이 없는 류 부총리의 결정권을 불신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류 부총리의 실질적인 권한에 의문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양측 모두 파국에 대한 부담이 크고 3,4주의 시간을 번 만큼 협상시한 추가 연장과 정상 간 담판을 추진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워싱턴 현지에선 류 부총리가 카운터 파트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에게 “모든 건 양국 정상에게 달렸다”고 말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협상 결과에 대한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면서 전 세계 주요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과 일본은 소폭 하락한 반면, 상하이지수 등 중국 증시는 3%가량 올랐다. 우리 정부는 국내외 금융ㆍ외환시장 동향과 실물경제 영향을 24시간 점검하며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재부를 중심으로 관계기관 공조체계를 긴밀히 유지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가동하라”고 지시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세종=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