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SKY 캐슬’ 조재윤 “촬영 내내 행복했던 행운의 작품” [인터뷰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월드

[스포츠월드=정가영 기자](인터뷰 ①에 이어) 배우 조재윤에게 ‘SKY 캐슬’은 ‘행운의 작품’이다. 신드롬적 인기를 끈 ‘SKY 캐슬’ 덕에 이제 남녀노소 그를 알아봐 준다고. 극중 우양우의 현명한(?) 선택들은 매 회 시청자에게 큰 웃음을 안겼다. 하지만 마냥 웃기기만 한 캐릭터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우양우-진진희 부부는 아들의 교육, 부부의 행복 모두 거머쥔 ‘SKY 캐슬’ 속 진정한 ‘위너’였다.

스포츠월드

지난 1일 종영한 JTBC ‘SKY 캐슬’에서 배우 조재윤은 진진희(오나라)의 남편이자 정형외과 교수 우양우로 독보적인 캐릭터를 선보였다. 힘든 일은 나 몰라라 도망치고, 신념 있게 득 되는 일에는 슬쩍 숟가락을 얻는 현실적인 캐릭터였지만 조재윤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고 폭풍 웃음을 자아냈다. 또한 오나라를 ‘찐찐’이라 부르며 환상 케미스트리를 펼친 조재윤의 활약은 전반적으로 무거운 ‘SKY 캐슬’ 분위기 속 오아시스 같은 매력을 선사했다.

최근 ‘SKY 캐슬’ 종영 인터뷰를 위해 스포츠월드와 만난 조재윤은 “촬영 내내 행복했던 작품이었다. 진진희와 이야기부터 강준상과의 관계까지 너무 재밌었다”며 “촬영 감독님은 기가막힌 앵글을 잡아주시니까 더 좋았다”고 말하며 시종일관 웃음을 놓지 않았다. ‘SKY 캐슬’ 촬영장은 ‘힐링의 장소’였다고 밝힌 그의 이야기를 더 자세히 들어봤다.

스포츠월드

-우양우·진진희 부부를 향한 시청자 반응이 뜨거웠다.

“사실 스카이캐슬은 여자들의 이야기다. 우리나라 군대, 정치, 학교도 모두 피라미드처럼 계급이 있지않나. 그걸 유일하게 깰 수 있는 공간이 ‘집’이다. 밖에서는 깨갱하다가도 집에서 만큼은 아내가 왕인 가정이었다. 아직도 가부장적인 집이 많지만 이제 아내의 눈치를 많이 보고 산다. 세상이 바뀌었다.(웃음) 변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여 보여주는 집으로 가자고 생각했다. 작가님이 잘 써주셔서 톤을 잘 잡을 수 있었다.”

-작가가 특별히 주문한 부분이 있었나.

“작가님께서 우양우-진진희 부부에겐 큰 사건이 있는 건 아니지만 ‘SKY 캐슬’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 부부의 대사에 다 들어가 있다고 말씀해주셨다. 그 말을 듣고 어깨가 올라갔다.(웃음) 대신 톤을 잡을 때 세게 나가면 역효과가 날 수 있으니 쉽게 툭툭 던져야 한다고 하셨다. 다른 가족들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면 우리 가족들은 현실을 반영했다는 사실에 뿌듯하더라.”

“작가님에게 찬사를 보낸다. ‘각시탈’ ‘신의 저울’ 등 이전의 작품과는 너무나 다른 이야기다. 이런 작품을 쓰실거라 상상하지 못했다. 작가님이 실화를 바탕으로 조사하다가 겪은 바에 살을 붙이고 거기에 감독님의 섬세함까지 합쳐졌다. 기가막힌 능력들이 다 맞아 떨어져서 작품이 탄생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스포츠월드

-‘SKY 캐슬’의 인기 만큼이나 배우 조재윤의 인기도 높아졌다.

“그래서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아, 종교가 기독교는 아니다(웃음). 김성균, 진선규, 오대환 등 친하게 지내는 친구들이 있다. 우리들끼리 술을 마시먹셔 하는 얘기가 있다. ‘우리가 배우가 되고 ‘스타’라는 단어를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는 게 너무 감사하다’는 것이다. 지금도 나를 알아봐주는 분들이 너무 신기하다. ‘SKY 캐슬’이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다는 걸 느낀다. 이제 어르신들까지도 나를 알아봐주신다. 비중이 큰 것도 아닌데 기억해 주시는 것에 정말 감사하다. 행운의 작품이다.”

-들어보니 여행 경험이 엄청나다. 어떻게 그 많은 여행을 하게 됐나.

“무대미술과 연출을 하다가 서른 다섯에 배우가 됐고, 극단 공연으로 해외에 많이 가게 됐다. 처음부터 여행을 가려고 했던 건 아니고, 공연을 갔다가 티켓을 연장해서 여행을 하게 됐다.(웃음) 남미 공연에 가면 브라질도, 아르헨티나도 가고(웃음). 투어를 하면서 장구를 들고 다니면서 공연을 했다. 그렇게 돈을 벌어서 잠도 자고 여행경비로 보태면서 여행을 이어갔다.”

-여행 경험을 녹여 출간 계획도 가지고 있다고.

“혼자만의 생각이었는데, 출판사 관계자가 이야기를 듣고 재밌을 것 같다고 책을 내자고 하시더라. 처음 취지는 아빠와 떠나는 여행, 엄마도 없는 둘 만의 여행이었다. 두 번째는 엄마와 아빠가 아이와 쉽게 여행가는 방법이었다. 평소 여행을 엄청 좋아한다. 국내 도시들은 다 가봤고, 해외 도시들을 여행하고 있다. 아이도 여행을 다 기억한다. 다섯 살 때부터 기억을 다시 시켜주려고 올 가을에도 긴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웬만한 나라는 다 가봤다.(웃음) 구상한 마지막 에피소드가 올해 안에 다 끝난다. 어서 마무리 짓고 싶다.”

스포츠월드

-‘SKY 캐슬’은 과열된 입시에 관한 이야기를 다뤘다. 혹시 실제 자녀 교육관에 영향을 미쳤나.

“아이 교육에 대해서는 딱 세가지 목표가 있다. 하나는 자연에서 자라게 하고 싶다는 것이다.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은 못질도 잘 못한다. 나는 시골 촌놈이라(웃음) 어릴 때부터 아빠가 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랐다. 그게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부모가 하라고 가르치는 게 아니라 보여주고 따라할 수 있게 하는 것 말이다. 그래서 여행도 많이 가려고 한다. 여행을 가야 사회성이 커진다. (아이가) 이제 스스로 비행기 타는 것도 잘 한다. 여행을 위해서는 언어도 필요할 것 같다. 그리고 피아노는 꼭 가르치고 싶다. 피아노는 베이스다.(웃음) 남자가 봐도 피아노 치는 남자는 너무 멋있다. 그 이외의 사교육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 같다.”

jgy9322@sportsworldi.com

사진=FNC엔터테인먼트 제공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