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광화문에 들어설 세월호 기억공간…"시민에 교훈" vs "광장 의미 퇴색"

댓글 5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세월호 천막 철거하고 기억 공간 설치 계획

광화문 설치에 시민 반응 엇갈려…市 운영도 논란

"국가재난 기억" 옹호론…"세월호 희생자만 왜" 반론도

이데일리

7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는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는 천막 14개가 설치돼있다. (사진=황현규 기자)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약 5년간 서울 광화문 광장에 들어서 있던 세월호 천막이 철거될 전망이다. 대신 서울시는 이 곳에 세월호 기억공간을 정식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놓고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국가적 재난을 기억하자는 좋은 취지”라며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 한편 “광장에 세월호 공간이 들어서는 것은 무리”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한다.

◇“안전의식 잊지 말아야” VS “세월호 희생자만의 공간 아냐”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세월호 천막은 이달 말이나 다음달 중으로 철거될 예정이다. 반면 서울시는 세월호 유가족들과 협의해 이 곳에 새로운 기억공간을 설치한다. 광화문 광장을 확장하는 재구조화 사업에 따른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유가족들과 협의 중이며 구체적인 설계는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천막 철거와 기억 공간 설치는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세월호 기억 공간을 광화문 광장에 세우는 것을 두고 시민 의견은 엇갈린다. 광화문 광장에서 만난 김정무(24)씨는 “잔혹한 참상이 벌어졌던 역사적 장소나 상징물을 돌아보는 다크투어리즘의 측면에서 세월호 기억 공간도 이해할 수 있다”며 “세월호를 잊지 말자는 의미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본다. 앞으로도 세월호 사건은 잊혀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광장에 세월호 공간을 설치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도 있다. 대학생 윤진수(22)씨는 “광화문 광장은 단순한 광장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공간”이라며 “과연 세월호 사고가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처럼 대한민국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직장인 윤성호(29)씨도 “이제까지 수많은 사고들이 발생했는데, 세월호 사고만 기억한다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지자체가 직접 운영…“대의적인 차원” VS “세금 드는 일”

세월호 기억관을 서울시가 직접 운영하는 것을 두고도 논란이다. 이제까지 서울시는 세월호 천막을 운영하는데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 광화문에 설치된 14개 세월호 천막 중 11개를 지원해주는 데 그쳤다. 물론 다른 3개 천막에 대해서는 무허가 점유물로 간주해 변상금을 부과했다. 실질적인 천막 운영도 세월호 유가족이 해왔다.

그러나 서울시의 기억공간 조성 계획은 기존 세월호 관련 공간을 직접 운영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새로 들어설 세월호 기억 공간은 서울시가 직접 설치하는 만큼 운영 책임 또한 서울시에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체적은 운영계획은 좀 더 논의해봐야겠지만 운영책임자는 서울시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놓고도 시민들의 입장은 엇갈린다. 직장인 박성용(30)씨는 “세월호 사고는 전 국민이 슬퍼할 정도로 국가적인 재난이었다”며 “이를 기억하자는 의미로 설치하는 공간은 대의적인 차원에서 지자체가 관리·운영하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

반면 종로구에 거주 중인 정수백(63)씨는 “세금까지 들여가며, 서울시가 나서서 기억 공간을 세우려면 서울 시민 전체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며 “서울시가 운영하는 것이라면 유가족과만 협의하지말고 서울시민 전체와 협의해야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정씨는 “이 과정을 생략한 기억공간 조성은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세월호 기억공간은 하나의 홍보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안전·재난 문제에 경각심과 교훈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