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文정부, 징용배상·레이더 갈등 일본 대응 '더 강하게' 45.6% vs '적절' 37.6%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강나훔 기자] 강제징용 배상 판결, 레이더 갈등 등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일본 정부에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얼미터는 YTN '노종면의 더뉴스' 의뢰로 지난 11일 이들 현안과 관련한 정부의 일본 대응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45.6%가 '현재보다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37.6%, '대응을 자제해야 한다'는 응답은 12.5%, 무응답은 4.3%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지역, 연령, 이념 성향에서 더 강하게 대응해야한다는 인식이 높은 가운데, 진보진영에서는 현재 대응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조사됐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보수층(더 강하게 대응 46.6% vs 현재 대응 적절 26.2%)과 중도층(44.2% vs 37.2%), 무당층(59.8% vs 20.5%)과 바른미래당(52.0% vs 28.8%) 지지층에서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거나 우세했다. 자유한국당 지지층(더 강하게 대응 44.2% vs 대응 자제 20.4%)에서도 더 강하게 대응 인식이 높았다.

반면 진보층(더 강하게 대응 43.6% vs 현재 대응 적절 52.0%), 더불어민주당(40.0% vs 54.8%)과 정의당(42.5% vs 47.2%) 지지층에서는 현재 대응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거나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62.3% vs 20.2%), 대전·세종·충청((51.5% vs 35.8%), 부산·울산·경남(48.4% vs 35.8%), 서울(40.0% vs 35.3%), 경기·인천(44.1% vs 40.5%)이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광주·전라(56.3%)에서는 현재 대응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5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6.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