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네루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블로 라라인 감독이 만든 영화 ‘네루다’도 가상의 캐릭터가 나온다. 비밀경찰 오스카(가엘 가르시아 베르날)다. 그는 곤살레스 비델라 대통령의 실정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하루아침에 상원의원에서 지명수배자 신세로 전락한 네루다(루이스 그네코)를 체포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오스카만 실존인물이 아닐 뿐, 네루다가 겪은 정치적 탄압과 도피는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건이다. 이때가 1948년, 네루다의 나이 마흔넷이었다. 그는 부인 델리아(메르세데스 모란)와 같이 당국의 감시를 피해 몸을 숨긴다. 그때부터 칠레의 이곳저곳을 전전해야 했던 그들의 도망자 생활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렇게 숨죽여 지낸 지 1년. 마침내 네루다는 안데스 산맥을 넘어 아르헨티나로 탈출하는 데 성공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
‘네루다’는 바로 이 기간에 초점을 맞춘다. 영화를 끌어가는 기본 동력은 네루다의 은신과 오스카의 추적이다. 네루다가 과연 오스카에게 잡힐 것이냐, 아니면 무사히 탈출할 것이냐. 이 작품에는 분명 이와 같은 스릴러적 요소가 녹아 있다. 그런데 영화를 보고 있으면 점점 다른 생각이 든다. 라라인 감독이 작품의 외피만 그렇게 꾸며 놓았다는 의심에 휩싸이게 되는 것이다. 오스카는 유능한 경찰인 것 같다. 그런데 네루다를 잡는 데만큼은 이상하리만치 무능하다. 아니 어쩐지 그는 네루다를 뒤쫓는 일에 일부러 실패하는 듯 보인다. 술래잡기를 영원히 끝내고 싶어 하지 않는 아이처럼.
그러니까 영화 제목은 ‘네루다’가 아니라 ‘네루다와 오스카’여야 하지 않았을까. 등장인물의 비중을 따져 봐도 그렇다. 이 작품에서 네루다와 오스카는 서로를 비추며 존재한다. 그런 점에서 관객은 라라인 감독이 한 다음의 말을 곰곰 새길 필요가 있다. “영화가 끝날 때는, (네루다와 오스카가) 처음 시작했을 때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 된다. 네루다가 자신의 세상을 만들어 냈듯이 우리도 새로운 세상을 만들었다. 이 영화는 네루다에 관한 영화라기보다는 ‘네루다식의 영화’일 수 있다. 아니, 혹은 그 두 가지 다 해당될 수도 있다. 우린 네루다가 읽고 싶어 했을 것 같은 그런 이야기를 창조했다.” 25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