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8771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각종 건강지표를 비교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식사시간이 짧을수록 체질량지수(BMI)가 높아 비만 위험이 커지고 혈액에 존재하는 중성지방수치를 높여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 내 중성지방수치가 높은 이상지질혈증은 혈액 점도를 높이고 중성지방이 혈관 벽에 쌓여 혈액의 흐름을 막으면 동맥경화,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등을 유발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위험인자다.
김도훈 교수는 "빠른 식습관은 식사 양을 많게 하여 비만 위험을 높이고 이를 통해 중성지방 증가, HDL(고밀도) 콜레스테롤 저하와 같은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해 혈관에 노폐물이 쌓이게 할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로 인해 고혈압, 당뇨뿐만 아니라 급성심근경색, 뇌혈관질환, 뇌졸중 등의 위험이 높아져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남성은 식사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가 15분 이상인 경우보다 평균 약 110㎉를 더 섭취하고 이는 밥 3분의 1공기를 더 먹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체중은 평균 4㎏ 이상 높고, 체질량지수 역시 25 이상으로 비만인 경우가 많았다.
우리나라 사람의 식사시간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한국인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가 가져온 결과로 해석된다.
김도훈 교수는 "빠른 식사습관이 고지혈증 위험을 높이고 비만을 키우는 만큼 적당한 식사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