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대출 이자도 갚아야 하고, 부모님 생활비도 드려야 하고…"
새누리당이 국회 쇄신 방안의 하나로 '무노동 무임금'을 추진하기로 한 가운데, 여기에 동참하지 않은 의원들의 '사연'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당은 지난 19일 의원총회를 열고 6대 국회 쇄신 방안 중 하나인 '무노동 무임금'의 일환으로 6월분 세비를 전액 반납하기로 결의했다.
대다수의 의원들은 당 방침에 따라 동참했지만 일부 의원들은 '소신' 또는 '형편'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새누리당에 따르면 21일 오후 6시 현재 6월분 세비 반납을 위한 세비 공제 동의서에 서명한 의원은 전체 150명 중 147명이다.
20일까지 9명이 동참하지 않았지만 21일 6명이 추가로 참여하면서 총 3명의 의원만이 서명을 하지 않은 것이다.
세비 반납에 참여하지 않은 의원은 이재오·김성태·조해진 의원이다.
조 의원은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제 경우는 양가 부모님 생활비를 보태고, 집 대출 이자를 갚으며 한 달 한 달 세비로 생활을 하고 있다"며 "다른 재산이 있거나 저축한 거라도 있다면 저축이라도 당겨서 생활하겠지만 통장 잔고도 몇 백만 원 밖에 안 된다"고 토로했다.
그는 "당에서 세비를 반납하라는 취지는 이해한다"면서도 "국회 개원만 안됐다 뿐이지 개인적으로 입 안이 부르트고 과로할 정도로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일을 안 하고 있다'고 하는 건 사실이 아닐 뿐더러 국민들에게 국회의원의 직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완전히 굳힐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세비의 전액이 아닌 일부를 반납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며 "당이 추진하는 것에 개인적인 이유로 참여하지 못해 자칫 당에 부담이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고 밝혔다.
김성태 의원은 "당의 '무노동 무임금' 원칙(개념)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세비 전액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김 의원은 "당 지도부의 개원 협상 의지 부족으로 초래된 개원 지연의 책임을 무노동 무임금 운운하며 동료 국회의원들에게 떠넘기는 것은 정략적으로 비춰질 수 있다"고 완강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그 동안 정부나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 규명과 해결을 위해 외롭게 노력해온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한 일에 뜻 깊게 쓰였으면 좋겠다"며 자신의 세비 전액인 약 873만원을 기부했다.
김 의원은 오는 22일 서울 마포구의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을 방문해 세비를 전달한다.
새누리당 대선 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한 이 의원 역시 이날까지 세비 공제 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지난 20일 KBS 1 라디오 '라디오 정보센터, 오광균입니다'에 출연, "세비를 받는 만큼 열심히 일하고 하루 빨리 국회를 개원해 민생을 보살필 생각을 해야지, 일하지 않으니까 돈도 받지 않겠다는 게 의원 체면이 서는 일이냐"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어 "저는 세비를 받아서 저희 지구당 직원 살림도 살아야 되고 집사람 월급도 줘야 되고 제 수입의 전부는 세비밖에 없다"며 "그걸로 활동을 해야 하는데 한 달 안 받으면 또 그만큼 어디 가서 빌려 써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의원은 "당에서 다 하자고 하면 해야죠"라며 여운을 남겼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지금 민생투어로 지방에 있어서 서명을 하지 못했다"며 "서울로 올라오면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세비로 지구당 월급도 줬었고 생활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빠듯한 건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는 22일 오전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최종 참여 의원 수를 공개할 계획이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통화에서 "첫날 141명이 참여한 데 이어 이날까지 많은 의원들이 참여해줘 감사하다"며 "의원들의 자율성 보장 차원에서 참여를 따로 독려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정치와 눈을 맞추다 - 눈TV
<저작권자 뉴스1 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창간기획] 한국의 슈퍼리치들
[book]스무살에 배웠더라면 변했을 것들
뉴스1 제공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