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버스업계, 버스 내 E-Pass 시스템 도입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로 승차권 구입없이 바로 탑승
실시간 운행·도착·지연 등 정보 제공으로 고객 편의 향상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로 승차권 구입없이 바로 탑승
실시간 운행·도착·지연 등 정보 제공으로 고객 편의 향상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3월 2일부터 전국 고속버스에서도 티머니 및 이비카드 등의 선·후불 교통카드와 신용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은 27일 고속버스 서비스 제고를 위한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 시스템을 내달 2일부터 고속버스 153개 전노선에 적용해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E-Pass 시스템 도입으로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탑승절차가 간소화 된다.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터미널에 도착해 매표소에 가지 않고 해당 차량 내에 설치된 통합단말기에 신용카드 또는 선·후불교통카드를 터치(자동결제)하면 좌석번호가 지정돼 바로 탑승할 수 있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은 27일 고속버스 서비스 제고를 위한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 시스템을 내달 2일부터 고속버스 153개 전노선에 적용해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E-Pass 시스템 도입으로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탑승절차가 간소화 된다.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터미널에 도착해 매표소에 가지 않고 해당 차량 내에 설치된 통합단말기에 신용카드 또는 선·후불교통카드를 터치(자동결제)하면 좌석번호가 지정돼 바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고속버스 모바일승차권이 도입된다. ‘고속버스 모바일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승차권을 받아서 차량 내에 설치된 단말기에 터치한 후 탑승이 가능하다. 따르서 기존에 사용하던 종이 승차권 없이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고속버스 운행과 도착, 지연 등의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을 구축했다. 고속버스 차량의 GPS를 통해 수집된 실시간 운행정보를 바탕으로 고속버스터미널 전광판과 차량내 TV모니터, 홈페이지, 모바일 등에 차량운행·도착·지연정보 등이 안내된다. 고속버스 이용고객은 물론 터미널 마중객, 고속버스 환승휴게소에서 대기하는 이용고객 등이 차량 운행지점과 도착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E-Pass 시스템 구축은 정부의 전국호환교통카드 정책과 고객요구에 부응한 서비스”라면서 “향후 E-Pass 시스템을 활용해 KTX 추가개통 및 교통환경 변화에 따라 고속버스 서비스 향상과 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