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클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먼저 이 작품이 오락 영화라는 걸, 먹고사는 문제는 이미 다 해결된 사람들의 여가를 다룬 이야기임을 밝혀 둔다.
그럼 이런 반문이 나올 법하다. ‘나는 오락 영화를 좋아하지 않고, 부르주아가 어떤 여유를 누리며 사는지도 궁금하지 않다. 굳이 내가 이 영화를 볼 필요가 있을까?’ 뭐, 그렇게까지 말한다면야 ‘북클럽’을 추천하고 싶진 않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는 게 당신의 시간을 낭비하는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두 가지 면에서 그렇다.
하나, ‘북클럽’은 제목처럼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하는 책 읽기의 가치가 무엇인지 돌아보게 한다. 책 읽기는 혼자 하는 것이 맞다. 근대의 책 읽기란 곧 개인의 묵독이니까. 속으로 글을 읽어 나가는 행위란 얼마나 고독한지. 그런 점에서 책 안 읽는 사람들의 입장도 이해가 된다.
그러나 기왕 시작한 책 읽기는 여기에서 중단되면 안 된다. 고독이 더 깊어질뿐더러 책은 한 번으로 다 읽히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여럿이 하는 책 읽기―북클럽이 필요하다. 같은 책을 읽고 모인 독자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책은 새로 읽힌다. 그것은 타인을 통해 자신이라는 텍스트를 재해석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또한 이것은 40년 동안 매달 한 권의 책을 선정해 함께 읽어 온 다이앤(다이앤 키턴)비비언(제인 폰다)캐럴(메리 스틴버건)섀론(캔디스 버겐)이 각자의 삶에서 결국에는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이유이기도 하고.
둘, ‘북클럽’은 책 읽기가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에 끼치는 영향이 예상 외로 크다는 걸 증명한다. 가령 영화에서 60대 여성 북클럽 멤버들이 접한 책은 “엄마들의 포르노”라 불리는 소설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였다. 그들은 기기묘묘한 성애가 펼쳐지는 이 작품을 탐독한다. 그러면서 다이앤비비언캐럴섀론은 나이가 들어서 포기했던 연애(혹은 섹스)의 욕망에 불타오른다.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는 이들의 결핍된 부분을 건드렸다.
때때로 책 읽기는 지금까지의 자기 인생을 뒤집어버릴 만큼 강렬한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비평가 사사키 아타루는 책 읽기가 혁명이라고까지 주장한 것이다. 거듭 읽으면 정말 뭔가가 바뀐다. 알게 된 것을 모른 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책 읽기는 쓰기를 촉구한다. 그러고 보니 영화 속 북클럽 멤버들은 다들 행동파였다.
영화 ‘북클럽’을 보고 어느 북클럽이라도 좋으니, 당신도 한번 여럿이 하는 책 읽기에 관심을 가져보길 권한다. 나도 모 서점에서 운영하는 북클럽에 참여 중이다. 영화에서처럼 식도락을 겸하는 모임은 아니지만 책 읽기에 대한 열정은 더 앞선다고 자부한다. 단 한 가지, 다이앤비비언캐럴섀론의 북클럽에 부러운 점도 있다. 40년간 책 읽기를 해 온 지속성이다. 노년이 돼도 나는 현재의 북클럽 회원으로 남고 싶다. 다이앤의 말처럼 인간은 늙어가는 동시에 계속 배워가는 존재이므로.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