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피터(미 플로리다주)=강명호기자] 오승환(34, 세인트루이스)이 27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피터의 로저 딘 스타디움에서 열리고 있는 스프링캠프에서 가볍게 캐치볼하고 있다. 2016.02.27. |
[스포츠서울 박현진기자] ‘끝판대장’ 오승환(34·세인트루이스)의 슬라이더가 메이저리그 무대를 집어삼킬 기세다.
오승환은 6경기에서 6.2이닝을 던지며 방어율 0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안타는 딱 한 개만 허용했고 삼진 11개를 잡아냈다. 빅리그에서 4이닝 이상 투구한 불펜투수들 중 9이닝 당 탈삼진 13위(14.85개), 피안타율 5위(0.053)에 올라 있다. 한국과 일본 프로야구를 평정했던 그의 구위는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절정에 올랐다. 특히 한국과 일본 시절에 비해 슬라이더의 구위가 한층 업그레이됐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오승환의 슬라이더는 볼끝이 살아있는 묵직한 돌직구의 위력을 배가시키며 메이저리그의 내로라는 강타자들을 주눅들게 하고 있다.
메이저리그 기록 전문 사이트 ‘팬그래프닷컴’도 “오승환은 슬라이더 31개를 던졌는데 그중 타자가 스윙을 한 건 15번이었다. 공을 맞힌 건 고작 3번뿐이었고 나머지 12번은 헛스윙이었다”며 그의 슬라이더를 주목한 뒤 “오승환의 슬라이더는 커터와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최고 구속 140㎞ 정도까지 찍힌다. 어쩌면 메이저리그에서 손꼽는 결정구일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팬그래프닷컴은 오승환이 콘택트율은 41.2%, 스트라이크 존 콘택트율 38.7%, 헛스윙 유도 24.8%로 당당히 메이저리그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그를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공략하기 어려운 투수 가운데 하나로 평가했다.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당시 오승환을 직접 만나고 돌아온 김용달 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은 “투수들은 공의 그립감에 아주 민감한 편인데 오승환은 실밥이 낮은 메이저리그 공인구의 그립감이 너무 좋다고 하더라. 그립감이 좋으니 더 강한 회전을 걸 수 있게 되면서 슬라이더의 각이 커졌다. 직구 외에도 슬라이더를 결정구로 던질 수 있게 되면서 메이저리그에 연착륙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현진기자 jin@sportsseoul.com
▶[할리웃톡] 안젤리나 졸리, 식사 거부까지…최근 '35kg대 진입'
▶[SS영상] "이건 아니지"…이탈리아 GK의 치명적인 자책골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