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윤 전 대통령 기록물' 이관 절차 시작
이명박·박근혜 정부서도 대통령기록물 관리 업무 맡아
2017년 이관 당시엔 국정농단 관련 '증거 인멸' 논란도
이명박·박근혜 정부서도 대통령기록물 관리 업무 맡아
2017년 이관 당시엔 국정농단 관련 '증거 인멸' 논란도
[앵커]
오늘(4일) 파면과 동시에 윤 전 대통령의 기록물을 대통령기록관으로 보내는 이관 작업도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이 이관 작업을 총괄할 신임 대통령기록관장에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 인사가 합격해 논란입니다.
김안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4일)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기록물을 대통령 기록관으로 이관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대통령비서실, 경호처, 국가안보실 등에서 생산한 자료들을 다음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 모두 넘겨야 합니다.
이때 기록물의 이동이나 재분류를 금지시키는 등 이관 작업 전반을 관리하는 게 대통령기록관장입니다.
그런데 오늘 행정안전부가 신임 대통령기록관장 최종합격자 2명을 발표했습니다.
앞서 JTBC는 용산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인 정모 씨가 지원했다고 보도했는데, 오늘 발표한 최종합격자에 정씨가 포함됐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2명 중 1명을 임명하게 됩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 : 일단 인사처에서 진행하는 평가랑 인사 심사 이런 것들이 통과되셔야 합니다. 인사 심사 일정도 언제가 될지도 모르고 저희도 (임명 시기를) 정확히 예측은 솔직히 좀 어렵습니다.]
정 씨는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도 청와대에서 대통령기록물 관리 업무를 맡았습니다.
특히 박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청와대 행정관으로서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을 도맡았습니다.
당시에도 국정농단과 관련 기록들을 대통령 기록관에 봉인시켜 증거를 인멸한다는 지적들이 나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계엄 관련 문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우려가 제기됩니다.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된 기록물은 최대 30년까지 봉인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오원석]
김안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