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인공지능 산업의 발달은 반갑기도 하지만, 우리 일상에 너무 빠르게, 또 깊게 들어오면서 두려움 섞인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AI 기술로 돈을 버는 기업들마저 나서서 규제를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뉴욕에서 강나림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금융 시장을 출렁이게 만든 미국 국방부 청사 펜타곤 폭발 사진.
모두 생성형 AI가 만든 합성 사진이지만, 인터넷을 통해 퍼질대로 퍼진 뒤에야 가짜라는 게 드러났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폭발적인 속도로 진화하는 만큼, 일상을 뒤흔드는 일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먼저 위험을 경고하고 나선 건 AI를 만든 과학자, 그리고 AI로 돈을 버는 기업들입니다.
이달 초 구글을 퇴사하면서 인간의 두뇌를 따라갈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 평생을 노력했지만, 이젠 컴퓨터가 무엇을 학습하든 인간을 능가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제프리 힌턴/컴퓨터 과학자·토론토 대 교수]
"몇달 전 문득 현재의 컴퓨터 모델이 실제로 인간의 두뇌보다 더 낫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마도 곧 인공지능이 우리를 능가할 겁니다."
AI검색 엔진 '빙'을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은 가짜 콘텐츠로부터 대중을 보호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로 AI 통제 장치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고, 챗GPT의 창시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도 미국 의회 청문회에 나와 정부가 나서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간에 AI 규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강나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인공지능 산업의 발달은 반갑기도 하지만, 우리 일상에 너무 빠르게, 또 깊게 들어오면서 두려움 섞인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AI 기술로 돈을 버는 기업들마저 나서서 규제를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뉴욕에서 강나림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금융 시장을 출렁이게 만든 미국 국방부 청사 펜타곤 폭발 사진.
수갑을 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명품 패딩을 입은 프란치스코 교황.
모두 생성형 AI가 만든 합성 사진이지만, 인터넷을 통해 퍼질대로 퍼진 뒤에야 가짜라는 게 드러났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폭발적인 속도로 진화하는 만큼, 일상을 뒤흔드는 일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먼저 위험을 경고하고 나선 건 AI를 만든 과학자, 그리고 AI로 돈을 버는 기업들입니다.
딥 러닝 분야 선구자로, 'AI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제프리 힌턴 박사.
이달 초 구글을 퇴사하면서 인간의 두뇌를 따라갈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 평생을 노력했지만, 이젠 컴퓨터가 무엇을 학습하든 인간을 능가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제프리 힌턴/컴퓨터 과학자·토론토 대 교수]
"몇달 전 문득 현재의 컴퓨터 모델이 실제로 인간의 두뇌보다 더 낫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마도 곧 인공지능이 우리를 능가할 겁니다."
AI검색 엔진 '빙'을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은 가짜 콘텐츠로부터 대중을 보호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로 AI 통제 장치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고, 챗GPT의 창시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도 미국 의회 청문회에 나와 정부가 나서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일찌감치 인공지능 시장을 선점한 빅테크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 후발주자들의 성장을 막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간에 AI 규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강나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강나림 기자(allin@mbc.co.kr)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