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9 (월)

올해 수능 국어영역 풀어본 대학생들의 반응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5일 서울 성동구 한 북카페에서 대학생들이 교육개혁 프로젝트 그룹 '위기'가 시행하는 모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고 있다. [위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 공부할 능력, 즉 '수학능력'을 갖췄는지 평가하는 수학능력시험의 취지는 현재도 잘 지켜지고 있을까? 실제 대학생들이 수능시험을 다시 치러보면서 이를 평가해보는 이색 모의 시험이 열렸다.

25일 서울 성동구 한 북카페에서 대학생 11명이 2018학년도 수능시험 문제를 풀었다. 시험감독관은 올해 수능을 본 고3 학생들이었다. 학생들은 국어·수학·영어영역 중 한 과목을 정해 문제를 풀었고 자신이 과외를 해본 경험이 있는 과목 응시는 제한했다. 국어영역 응시자 5명, 영어 4명, 수학은 2명 이었다.

결과는? 국어 응시자 평균점수는 68.25점, 영어는 60.5점이었다. 올해 절대평가로 전환된 영어는 60점이면 4등급에 해당한다.

국어 문제를 푼 양동규(23)씨는 "생소한 분야에서 지문이 나와 고등학교 3학년생 수준에 맞는 시험인지 의문이 들었다"면서 "시간이 없어서 문제를 먼저 보고 지문을 발췌해 읽은 '꼼수'를 발휘해야 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올해 국어 지문으로는 환율·금리 등이 단기적으로는 급등락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평균에 수렴한다는 '오버슈팅' 이론, 디지털통신 부호화 기술 등을 다룬 글이 나왔다.

중앙일보

25일 서울 성동구 한 북카페에서 대학생들이 교육개혁 프로젝트 그룹 &#39;위기&#39;가 시행하는 모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고 있다. [위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해나(25)씨는 "고등학생 때는 '테크닉'을 이용해 글을 이해하지 않고 문제를 풀었다"면서 "지금은 문학작품을 읽듯이 '주인공이 참 불쌍하다' 같은 생각을 하며 문제를 푸니 재미도 있고 성적도 더 잘 나왔다"고 밝혔다.

모의 수능 후에는 초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지내며 수능을 만든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와의 대담이 진행됐다. 박 명예교수는 "수능을 보고 몇 년 후 다시 수능을 봤을 때 과거 공부한 내용을 잊어버렸다면 '잊어버릴 것'을 공부했다는 것"이라면서 "잊어버릴 만한 것을 왜 공부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수능은 원래 적성고사가 취지지만 현재는 전국단위 서열화에 쓰인다"면서 학력고사처럼 변한 수능이 원래 취지대로 돌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박 명예교수는 "아직도 수능을 중점적으로 보는 대학들이 남은 것은 수능이 학생들을 전국단위로 서열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라면서 "교육은 '못 하는 사람'을 데려다가 가르치는 것이 원칙인데 학생들을 서열화해 뽑겠다는 것은 교육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이날 수능 모의시험은 학생들이 직접 교육개혁을 주도하겠다는 취지로 2014년 결성된 프로젝트 그룹 '위기' 주관으로 열렸다.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