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는 지난 9월 1만3331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21명(22.2%) 늘었다. 6월 6045명이던 서울 순유출 인구는 7월 8243명, 8월 8991명으로 증가세를 보이다 9월에는 올 들어 처음 1만명을 넘어섰다.
서울의 집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데다 부동산 규제 강화로 다주택자뿐 아니라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도 힘들어지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5억8446만원으로 1년 전보다 4.5%(2515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값은 평균 3억8952만원으로 3.1%(1187만원) 상승했다. 반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경우 아파트값이 평균 1억9249만원으로 1년 새 0.3%(59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전세가격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평균 전세가격은 지난달 3억8885만원으로 1년 전보다 3.0%(1114만원) 비싸졌다. 이 기간 동안 수도권은 2.2%(599만원) 오른 2억7661만원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지방은 0.2%(29만원) 오른 1억4248만원으로 사실상 보합세를 나타냈다.
서울에서 집을 사거나 전세를 구하려면 웬만한 직장인들로서는 월급을 한푼도 안 쓰고 꼬박 10년을 모아도 힘든 수준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은 대출을 끼고 집을 사게 된다. 문제는 대출을 받는 일도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8·2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묶이면서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됐다. 집이 없는 실수요자라고 해도 서울 시내 집을 사려면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이 40%까지 제한된다. 부부 합산 연소득이 6000만원 이하인 서민층의 경우 규제 비율이 50%로 완화되지만 큰 차이는 없다. 이전에는 5억원짜리 아파트를 사려면 최대 3억5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서민 실수요자라도 2억5000만원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나머지 2억5000만원은 직접 마련해야 하는데, 서민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주택담보대출금리도 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의 신규 취급 기준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지난 9월 3.24%로 1년 전 2.80%에서 0.44%포인트 뛰었다. 주택담보대 2억원을 받을 경우 1년에 이자만 648만원을 내야 하는 셈이다. 여기에 원금을 더하면 상환 부담은 훨씬 더 커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을 떠나는 사람들이 줄을 잇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4만257명이 서울을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97.3%에 달하는 13만6403명이 경기도에 둥지를 튼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서울을 떠난 인구는 5만8340명에 달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에는 7만9027명이 순유입됐다.
최근 서울 전셋값과 비슷한 가격대의 수도권 아파트 단지들이 높은 청약경쟁률을 나타낸 것도 이런 이주 수요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일 청약에 들어갔던 시흥 광석동에 위치한 시흥시청역 동원로얄듀크는 총 302세대 모집에 5304명이 몰리면서 평균 17.6대1의 경쟁률로 모두 1순위 마감됐다. 시흥시청역과 연성역의 더블역세권과 전용면적 84㎡ 기준 3억9500만~4억2500만원의 비교적 합리적인 분양가가 인기를 끈 요인으로 보인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가성비 좋은 수도권 아파트에 대한 인기는 계속될 것”이라며 “다만 수도권에 집을 마련한다면 서울 접근성이 좋고 인프라가 갖춰진 곳을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