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사설] 잇따른 연구 부정 의혹 이진숙… 교육 수장 자격 입증해야

한국일보
원문보기

[사설] 잇따른 연구 부정 의혹 이진숙… 교육 수장 자격 입증해야

서울흐림 / 27.1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6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6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교수 출신인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관련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 제자 논문과 유사한 내용을 학술지에 발표한 의혹, 비슷한 논문을 여러 곳에 겹치기 게재한 의혹에 이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논문에 활용했다는 의심도 사고 있다. 연구윤리를 주관하는 부처가 다름 아닌 교육부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회 등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재직 시절인 2018년 조명과 조도와 관련한 논문 두 편을 서로 다른 논문집 및 학술지에 각각 발표했다. 그런데 두 논문의 △실험 설계 △참여자 조건 △결론 부분에서 비슷한 문장(유사도 35%)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연구윤리 확보 지침을 보면 논문 중복 게재는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 표시 등과 함께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한다.

논문 관련 논란은 또 있다. 제자들의 석박사 학위 논문과 비슷한 내용을 자신의 논문에 수차례 가져다 쓴 의혹, 논문에 챗GPT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문장이 다수 확인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논문을 작성하지 않아 반납해야 하는 연구 지원비를 2년 이상 지나서야 되돌려준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학계에선 이런 행위들을 연구부정으로 단정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지만, 교수 출신 장관 후보자가 ‘본업’이라 할 수 있는 논문 분야에서 이렇게 뒷말이 나오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 더구나 교육부 장관은 연구윤리 위반 사건 발생 시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징계 요구나 고발 등 후속 조치를 해야 하는 최종 책임자이다.

교육 정책 수장이 될 사람의 논문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은 그냥 넘길 문제가 아니다. 과거 송자 전 교육부 장관(2000년), 김병준 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2006년)이 표절 ·중복게재 의혹 등 연구윤리 문제로 취임 직후 낙마한 사례도 있었다. 국회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 후보자 교수 재직 시절 연구윤리 문제를 철저하게 검증하고, 이 후보자는 교육 수장이 될 자격이 있다는 걸 충실히 입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