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데일리 언론사 이미지

여야, 상임위원장 선출 머리 맞대지만 빈손으로 헤어져

이데일리 박종화
원문보기

여야, 상임위원장 선출 머리 맞대지만 빈손으로 헤어져

속보
'계엄시 군경 국회 출입금지' 계엄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법사·예결위원장 두고 평행선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여야가 공석인 상임위원장 선출 문제를 두고 머리를 맞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을 위한 여야 원내수석 회동을 위해 운영위원회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을 위한 여야 원내수석 회동을 위해 운영위원회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19일 국회에서 한 시간 동안 공석인 상임위원장 선출 등을 논의했으나 성과 없이 헤어졌다. 전날에도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만나 상임위원장 문제를 논의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국회는 공석이 된 국회운영위원장과 법제사법위원장, 기획재정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 국민의힘이 민주당은 여당이 된 만큼 견제를 위해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자당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나 민주당은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유 부대표는 “여당의 입장이 현재까지 한 발도 변화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야당의 입장에서는 비정상적인 원 구성이 22대 (국회) 상반기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번에 정상화하자는 요구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문 부대표는 “지금 국면은 원 구성 협상을 하는 게 아니고 원 구성 협상은 이미 1년 전에 1기 원내 지도부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여당은 야당에 국회 본회의 개최도 요청했으나 야당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를 거절했다. 문 부대표는 “이재명 정부가 제대로 민생 회복할 수 있도록 본회의 일정을 빨리 잡자는 취지로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유 부대표는 “(본회의 개최에 관해) 입장 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야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면서 추경 처리 시점도 불투명해졌다. 정부는 다음 주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인데 이를 심사할 예결위가 구성되지 않으면 추경 처리와 집행에도 차질이 생긴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다시 만나 상임위원장 선출과 추경안 심사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