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정책 인플레이션 영향, 국가별로 상이
미국은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폭 확대 전망
캐나다 등 관세 대응국도 수입물가 상승 직결
韓日은 마이너스 수요 충격으로 작용할 듯
중국 대미수출 감소로 한국은 추가 하락 압력
향후 원화가치 하락·공급망 차질 등은 변수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글로벌 무역 환경이 재편되면서 성장뿐만 아니라 물가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관세에 대한 대응에 파급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과 같이 관세 대응에 유보적인 국가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요 둔화의 하방 압력이 우세하겠으나,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공급부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환율 상승 등이 물가 상방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주요국 물가상황과 미국 관세정책의 향후 물가 파급영향 점검’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부과는 수입 최종재를 통해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고 수입 중간재를 통해 기업 생산비용을 높여 미국 물가에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실제로 승용차, 정보기술(IT) 기기 등 주요 수입품 관세율이 큰 폭 상승했고, 소비자물가와 밀접한 시차관계(약 4개월 선행)를 보여온 PMI 산출가격지수가 최근 큰 폭 상승(4월 54→5월 59)한 점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관세 대상 품목이 늘어나고 관세율도 높아짐에 따라 소비재는 물론 자본재 가격도 영향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관세의 물가 상승효과는 자본재가 소비재보다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미국내 자본재의 수입의존도(38%)가 소비재(9%)보다 훨씬 높아서다. 특히 이번 관세는 자본재에 대해서도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고, 자본재 가격 상승은 생산비용 상승을 통해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전가되는 만큼 인플레이션 지속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미국은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폭 확대 전망
캐나다 등 관세 대응국도 수입물가 상승 직결
韓日은 마이너스 수요 충격으로 작용할 듯
중국 대미수출 감소로 한국은 추가 하락 압력
향후 원화가치 하락·공급망 차질 등은 변수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2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2035년까지 휘발유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캘리포니아주 규제를 무력화하는 결의안 서명에 앞서 연설하는 모습. 뉴시스 |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글로벌 무역 환경이 재편되면서 성장뿐만 아니라 물가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관세에 대한 대응에 파급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과 같이 관세 대응에 유보적인 국가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요 둔화의 하방 압력이 우세하겠으나,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공급부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환율 상승 등이 물가 상방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캐나다 등 관세 대응 국가는 수입물가 상승 효과 커
![]() |
한국은행 제공. |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주요국 물가상황과 미국 관세정책의 향후 물가 파급영향 점검’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부과는 수입 최종재를 통해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고 수입 중간재를 통해 기업 생산비용을 높여 미국 물가에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실제로 승용차, 정보기술(IT) 기기 등 주요 수입품 관세율이 큰 폭 상승했고, 소비자물가와 밀접한 시차관계(약 4개월 선행)를 보여온 PMI 산출가격지수가 최근 큰 폭 상승(4월 54→5월 59)한 점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관세 대상 품목이 늘어나고 관세율도 높아짐에 따라 소비재는 물론 자본재 가격도 영향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관세의 물가 상승효과는 자본재가 소비재보다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미국내 자본재의 수입의존도(38%)가 소비재(9%)보다 훨씬 높아서다. 특히 이번 관세는 자본재에 대해서도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고, 자본재 가격 상승은 생산비용 상승을 통해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전가되는 만큼 인플레이션 지속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 맞관세로 대응하는 국가에서는 관세 부과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직결돼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경우 경기위축 우려가 커지며 4월 CPI 상승률이 1.7%까지 낮아졌으나 관세 부과에 따라 자동차 등 일부 상품 가격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캐나다 중앙은행은 지난 4월 통화정책보고서를 통해 무역분쟁 장기화 시 보복관세의 영향이 커지면서 2026년 CPI 상승률이 지난 1월 전망(2.1%)을 크게 상회하는 2.7%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국은 물가 하방압력이 여전히 우세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지 않아 관세의 직접 영향이 제한적인 데다, 내수경기 부진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미 관세 부과에 따른 공급 과잉도 심화하면서다.
■수요 둔화 하방 압력 우세...환율 상승은 변수
![]() |
한국은행 제공. |
관세 대응에 유보적인 기타교역국의 경우 미국 관세정책이 마이너스 수요충격으로 작용해 인플레이션을 낮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과 같이 미·중 모두에 대한수출 비중이 높은 나라의 경우, 수요 부진과 원자재 가격 하락의 물가 하방압력이 우세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중국의 대미수출 감소로 중국산 저가 공산품이 우리나라 등 여타국 수출로 전환될 경우 추가적인 물가하락 압력이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트럼프 1기 중 관세 부과 품목은 미국으로부터 제3국(인도, 한국, EU, ASEAN)으로의 수출 전환과 해당국 수출 단가 하락으로 이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분석 결과 대중 수입 단가 변동률이 10%p 하락할 경우 이후 1년에 걸쳐 우리 근원 물가 상승률도 0.3%p 정도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협상 결과에 따라 미국 관세 정책의 전개 양상이 크게 변동될 수 있는 만큼, 원화 가치가 하락하거나 일부 공급망 차질이 발생할 경우 물가 하방 압력을 일부 상쇄할 가능성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직접 효과가,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공급망 재편과 같은 구조적 변화가 향후 물가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 물가의 경우, 미국 관세 정책이 마이너스 수요 충격으로 작용하고 중국의 수출 전환도 예상되는 등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미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며, 앞으로 관세 협상 추이에 따라 원화 가치 하락이나 공급망 차질 등 물가 상방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만큼, 향후 물가 흐름을 판단하는 데에는 다양한 물가 동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