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서울=뉴스1) 신초롱 기자 = 부모를 일찍 여의고 부모 노릇을 해준 고모를 간병하는 며느리에게 막말한 시어머니를 향한 일침이 쏟아졌다.
12일 JTBC '사건반장'에서 결혼 25년 차 50대 주부 A 씨는 고모 간병을 이유로 시어머니와 고부 갈등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사연에 따르면 A 씨는 남편과 맞벌이하고 있다. 그동안 남편은 일한다고 빠져도 A 씨는 어버이날, 시부모님 생신 등 집안 행사에 모두 참여했다.
좋은 곳에서 음도 대접하고 용돈도 챙겼다. 올해 어버이날도 남편은 일 때문에 못 왔고 저만 시부모님이랑 식사했다.
그런데 어버이날을 나흘 앞두고 A 씨 고모가 뇌출혈로 쓰러졌다. 부모님을 일찍 여읜 뒤로 고모는 A 씨의 대학도 보내주고 아이들도 돌봐주며 딸처럼 챙겨줬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게는 반드시 보호자가 상주해야 했고, 고모는 자식이 없어서 A 씨가 옆에 있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A 씨는 시어머니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식사 약속을 취소해야겠다고 이야기했다. 그런데 시어머니의 첫마디는 "왜 네가 가 있냐"였다.
또 "엄마도 아니고 고모인데 시부모가 우선 아니냐. 엄마도 없으니까 시부모한테 더 잘해야 하지 않냐"는 말까지 했다.
A 씨는 연신 죄송하다고 얘기했지만 시어머니는 기분 상한 티를 팍팍 내면서 나중에는 대답도 하지 않았다. 그렇게 어버이날 당일 A 씨는 다시 시댁에 연락해 "죄송하다"고 사과하고 용돈을 보냈다.
시어머니는 그 이후로도 계속 이야기를 꺼내며 "그게 며느리 도리냐. 서운한 게 잘못이냐" 짜증을 내더니 이제는 말만 하면 "날 가르치러 드냐"고 불만을 내뱉었다.
A 씨는 "남편은 전화로 풀어 드려라. 말 들어드리는 게 그렇게 어렵나. 이렇게 나 몰라라 하고 있어서 더 속상하다. 제가 그렇게 잘못한 거냐"라고 물었다.
박지훈 변호사는 "이 상황을 정확하게 시어머니가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저런 행동을 했다는 건 괴롭힘에 가깝다. 몰랐으면 좀 달리 볼 여지도 있다. 만약 고모가 엄마 같은 사람인데 어버이날을 안 챙긴 것과 연결하는 건 맞지 않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박상희 심리학 교수는 "너무 착한 며느리여서 도리어 문제인 것 같다. 조선시대도 아니고 저도 시어머니께 잘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한계라는 게 있다. 거기에 남편까지 동조하고 있다. 거리를 두셔서 덜 잘해줘야 편안한 관계가 유지될 거 같다"라고 조언했다.
r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