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스1 언론사 이미지

천하람 "팬덤정치 폐해 끊어달라"…우상호 "이준석 바람 깜짝 놀라"

뉴스1 서미선 기자 박소은 기자
원문보기

천하람 "팬덤정치 폐해 끊어달라"…우상호 "이준석 바람 깜짝 놀라"

속보
이스라엘, 이란 선제공격…테헤란서 폭발음

신임 정무수석, 개혁신당 예방…우 수석 "여과없이 대통령께 전달"

천 권한대행, 총리 인사청문 앞두고 "도덕성·균형 따질 것"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를 찾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접견하고 있다. 2025.6.1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를 찾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접견하고 있다. 2025.6.1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서미선 박소은 기자 = 천하람 개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1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에게 "팬덤 정치의 폐해를 이번 이재명 정부에서 끊었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천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를 찾은 우 정무수석과의 상견례 자리에서 "이재명 정부에서 지금까지 중 최고의 인선이 우 정무수석 인선 아닌가 생각한다. 그래도 우리가 야당이니 쓴소리를 좀 드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천 권한대행은 "특히 우 정무수석은 더불어민주당에 있을 때 '수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라'는 수박금지령을 내리면서 맛만 좋은데 왜 그러냐고 일갈한 것을 기억한다"고 말했다. 수박은 민주당 강성 지지층이 비명(비이재명)계를 비하하는 표현이다.

그는 "결국 팬덤과 지지층을 벗어나 보다 넓은 차원에서 대한민국 전체 국익을 추구해 줘야 한다"며 "그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게 인선으로, 쓴소리할 만한 분들, 팬덤이 별로 안 좋아할 만한 분들 넓게 넓게 인선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이재명 대통령 과거 변호인 대리인이었거나 한 분들이 대통령실에 다수 인선되고 있고 특히나 대한민국 최고법원인 헌법재판관 후보자로까지 나오는 상황이 매우 우려스럽다"며 "통합과 탕평의 인사를 조금 더 추구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입법 영역에서 위인설법(爲人設法) 문제, 이 대통령을 지키기 위한 법 내지는 이 대통령에게 찍힌 기관의 힘을 빼기 위한 입법은 없어야 한다"며 형사소송법, 공직선거법 개정 등을 멈출 것을 언급했다.


천 권한대행은 "대법관 증원이나 헌법소원을 포함한 사법제도 개혁은 단순히 국회에 맡길 게 아니라 공론화특위 같은 것을 범정부적으로 구성하는 게 낫지 않냐"며 "국회가 중심이 되고 대법원, 헌재, 대한변협 등 관계기관이 전부 참여해 신중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마구잡이식 추진'을 경계했다.

추가경정예산과 관련해선 "정부 재정지출이 미래 세대에 빚 떠넘기는 형태가 돼선 안 된다"며 "포퓰리즘이나 현금 살포 형태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우 정무수석은 "이번 대선 과정에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바람을 일으킨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젊은 세대가 특별히 이 후보를 열광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을 보면서 민주당이 배워야겠다는 반성과 성찰을 했다"고 덕담부터 했다.


그는 "주신 말씀은 여과 없이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있다. 오늘 주신 말씀도 잘 정리해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하겠다"며 "이 후보에게도 대통령의 안부 인사를 꼭 전달해달라"고 했다.

천 권한대행은 약 30분간의 상견례가 끝난 뒤 "대선을 치르며 다당제 정치로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여러 정책 개혁 방안, 한국 정치를 개혁하는 변화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말씀을 드렸고 우 정무수석도 경청하고 메모했다"며 "이 후보를 필두로 젊은 정치 지도자가 앞으로 더 많이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는 공감대를 이뤘다"고 말했다.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시즌을 맞은 것과 관련해선 "내각 인선은 보다 높은 도덕성 기준을 적용해 대통령 본인에 대해 (국민이) 가진 도덕성 우려를 불식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국무총리는 과거 범죄 전력을 포함해 도덕성 요건을 꼼꼼하게 따지겠다"고 했다.


이어 "(김민석 총리 후보자가) 공격수 본능을 좀 버리고 국정 전반을 통합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정책지향, 이념을 벗어난 실용적 정부 운영이 가능할지 보겠다"고 했다.

smi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