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한·미 공동개발 '태양 코로나그래프' 첫 태양 온도·속도 이미지 공개

머니투데이 박건희기자
원문보기

한·미 공동개발 '태양 코로나그래프' 첫 태양 온도·속도 이미지 공개

서울흐림 / 23.8 °
천문연-NASA '코덱스'(CODEX) 관측 데이터로 코로나 온도·속도 정보 얻어
지상 통신환경에 영향 주는 '태양풍' 원리 분석 기대

한미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코덱스'와 기존 태양 코로나 그래프인 '라스코'의 동일 시점 이미지를 합성한 영상.  붉은색은 온도가 높은 영역, 파란색은 온도가 낮은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분석하 코로나의 온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오른쪽 아래 그림은 CODEX가 관측한 스트리머 주변의 온도 분포(필터비 영상)를 나타냄. /사진=우주항공청

한미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코덱스'와 기존 태양 코로나 그래프인 '라스코'의 동일 시점 이미지를 합성한 영상. 붉은색은 온도가 높은 영역, 파란색은 온도가 낮은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분석하 코로나의 온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오른쪽 아래 그림은 CODEX가 관측한 스트리머 주변의 온도 분포(필터비 영상)를 나타냄. /사진=우주항공청



국내 연구팀이 NASA(미국 항공우주국)와 공동 개발한 태양 코로나그래프 '코덱스'(CODEX)를 통해 태양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담은 이미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코로나의 온도 및 속도 정보가 담긴 이미지를 11일 공개했다.

코로나(Corona)는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이다. 태양의 표면이 매우 밝기 때문에 개기일식을 제외하면 지상에서 코로나를 관측하기 어렵다.

코로나그래프는 코로나를 관찰할 수 있게 제작된 특별한 망원경이다. 천문연과 NASA가 공동으로 만든 코로나그래프인 '코덱스'에는 태양 코로나의 형상을 비롯해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관측해 2차원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됐다.

이날 우주청이 공개한 이미지는 올해 2월부터 ISS(국제우주정거장)에서 임무를 수행 중인 코덱스의 관측 데이터로 만든 첫 코로나 온도·속도 분석 영상이다. 2월23일 코덱스가 관측한 태양 근처 고밀도 영역인 '스트리머'에 NASA의 기존 코로나 그래프 '라스코'(LASCO)가 동일 시점에 찍은 영상을 합성했다. 이를 통해 코덱스가 태양 반경 약 3~8배 범위까지 뻗어있는 희미한 코로나에서 온도와 속도 정보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청은 "코덱스에 적용된 '픽셀 분리형 편광카메라 플랫폼 기술'은 고해상도 영상에서 미세한 편광 정보를 정밀하게 분리, 측정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태양 코로나 영상 획득의 기반이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코로나의 온도, 속도 분포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해 태양풍을 구성하는 물질과 에너지 유입 경로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구상의 통신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태양풍의 원리를 분석해 새로운 예측 모델을 만드는 게 목표다.

존 리 우주청 임무본부장은 "우주 탐사 분야 국제협력의 좋은 성과"라며 "태양 연구와 우주 환경 예측 분야에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