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겨레 언론사 이미지

AI가 대선 개표방송…미디어 지형 바꾼다

한겨레
원문보기

AI가 대선 개표방송…미디어 지형 바꾼다

속보
이스라엘 안보소식통 "이란 참모총장·핵과학자 등 사망 가능성"
지난 3일 문화방송(MBC)이 공개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그날, 함께 지금’의 주요 장면. 도스트일레븐 제공

지난 3일 문화방송(MBC)이 공개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그날, 함께 지금’의 주요 장면. 도스트일레븐 제공


“우리 전 민족이 세계 무대로 발을 들여놓는 그런 시기를 맞았습니다.” 왼쪽 화면으로 김구 선생의 1946년 광복 1주년 기념 연설 장면이 지나가면, 오른쪽 화면에서는 유엔에서 연설하는 방탄소년단(BTS) 리더 알엠(RM)의 모습이 나타난다. 1920년 만주 청산리에서 총 한 자루를 쥐고 앞으로 나아가던 독립군은 거대한 화염 속으로 뛰어드는 현대의 소방대원 모습과 연결되고, ‘아리랑’의 나운규는 ‘기생충’의 봉준호와 만난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일 개표방송을 앞두고 공개된 문화방송(MBC)의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그날, 함께 지금’의 주요 장면이다. 1분30초 분량의 이 영상은 문화방송(MBC)의 인공지능(AI) 부문 전략자회사 ‘도스트일레븐’이 별도의 촬영 없이 대부분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로 구현한 결과물이다. 김구 선생의 육성은 인공지능 음성 합성 기술로 잡음 없이 되살아났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장면의 ‘연결 편집’에도 ‘팩츄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인공지능 기술이 쓰였다.



2022년 챗지피티(GPT) 등장 이후 뉴스룸 안팎에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려는 국내 미디어 업계의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일부 신문·방송사는 콘텐츠 제작 등 내부 업무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내놓고 새로운 기회 모색에 나서 눈길을 끈다.



도스트일레븐은 화제가 된 ‘대선 카운트다운 영상’의 95%가량을 인공지능을 활용해 제작한 데 이어 최근엔 인공지능 기반의 콘텐츠 제작 도구인 ‘비디오스쿠버’ 무료 버전을 공개했다. 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영상 콘텐츠 제작 공정의 상당 부분을 자동화한 도구로 자막 생성과 번역, 요약문 생성 등 주로 편집자가 시간을 들여 직접 처리해야 했던 작업을 도와준다. 현재 문화방송 내부에서도 ‘스트레이트’와 ‘피디(PD)수첩’ 등 프로그램 제작에 활용하고 있으며, 지난달부터 외부 마케팅에도 본격적으로 나선 상태다.



10일 염규현 도스트일레븐 경영기획본부장은 “비디오스쿠버는 편집 이전에 촬영해온 원본 영상을 검토·정리하는 단계는 물론 이미 제작이 끝난 영상을 나중에 효과적으로 검색·활용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며 “내부적으로는 방송사와 제작사, 1인 미디어 등을 중심으로 비디오스쿠버의 수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하반기 유료화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도스트일레븐의 비디오스쿠버 사례에서 엿볼 수 있듯,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활용에 관한 미디어 업계의 주된 개발 흐름과 방향은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 제고’에 맞춰져 있다. 연합뉴스 계열사인 연합인포맥스는 이달 초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방송뉴스 제작플랫폼 ‘인포엑스(X)’를 내놓고 본격적인 시장 개척에 나섰다. 이는 기사나 메모, 보도자료 등 다양한 형태의 원고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해둔 명령어에 따라 간단하게 영상물로 전환해주는 도구다. 특히 인포엑스는 원고 이외에 별도의 사진이나 자료 화면이 없더라도 연합미디어그룹이 보유한 사진·영상 아카이브에서 해당 콘텐츠에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추천·선택하는 기능도 제공하는 만큼, 편의성이 높다는 게 연합인포맥스의 설명이다. 현재 인포엑스는 사용량에 따라 월 구독료를 내는 구독형 서비스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방송(KBS)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 편집 도구 ‘버티고’와 이를 확장한 ‘버티고 비전’ 등의 개발을 마치고 사업화를 모색하고 있다. 버티고의 핵심 기능은 고해상도 영상의 일부를 피사체의 움직임에 맞게 잘라내는 (인물별) 리프레이밍이다. 여기에는 한국방송 미디어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딥러닝 기반의 인물 인식 인공지능 엔진이 쓰였다. 예컨대 ‘케이팝’ 아이돌 그룹의 인기와 함께 수요가 늘어난 모바일용 ‘세로직캠’ 영상을 만들 때 과거에는 여러 대의 카메라와 리프레이밍을 위한 엄청난 수작업이 필요했는데, 이런 복잡한 장비와 공정을 버티고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



신문사 중에서는 지난달 13일 인공지능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와 협업해 인공지능 교열 서비스 ‘에디트업’을 유료로 출시한 조선일보의 도전이 눈에 띈다. 업스테이지의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 ‘솔라’를 기반으로 한 에디트업은 기사나 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의 원고를 입력하거나 파일을 올리면 즉각 오·탈자와 잘못된 띄어쓰기를 찾아내 고칠 부분을 알려준다. 업스테이지의 자체 테스트에서 에디트업의 교열 정확도는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열 전문가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이 업스테이지의 주장이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디어 업계의 사업화 시도에 대해선 다양한 실험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자칫 외부를 대상으로 ‘보여주기’에만 치중하는 듯한 경향은 경계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도 나온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챗지피티를 출시한 미국의 오픈에이아이사도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데, 국내 언론사에 이를 활용해 돈을 벌라고 요구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 있다”며 “미디어 업계가 보여주기식 사업화에 매달리기보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한 언론사 내부의 업무 흐름 효율화 가능성 모색과 함께 언론 본연의 기능에 좀 더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