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대형마트 공휴일 휴업 '일단 정지'

머니투데이 유엄식기자
원문보기

대형마트 공휴일 휴업 '일단 정지'

속보
이스라엘, 이란 선제공격…테헤란서 폭발음
與오세희, 개정안 처리 의지
업계·당내 반감에 한발 후퇴

서울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에 휴무일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4.7.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서울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에 휴무일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4.7.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여권에서 대형마트의 월 2회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려는 입법을 추진한단 소식에 유통업계는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역력하다. 최근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의무휴업일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흐름과 역행하는 고강도 규제여서다.

이 제도가 현실화하면 그렇지 않아도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위주로 재편한 유통 시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이 주력인 유통사의 설 자리가 사라지고, 주말에 매장을 찾는 소비자의 불편도 클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10일 정치권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오세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지난해 9월 대표 발의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개정안은 '대형마트는 한 달에 두 번 반드시 공휴일에 문을 닫아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 법이 통과되면 전국의 모든 대형마트는 한 달에 두 번씩 반드시 공휴일에 문을 닫아야 한다.

업계에선 공휴일 강제 휴무가 법제화되면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단 입장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평일 매출과 휴일 매출이 최대 3배 이상 차이 나는 점포도 많다"며 "평일로 의무휴업일을 바꾼 점포가 다시 일요일로 의무휴업일을 설정하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비자 후생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또 다른 대형마트 관계자는 "주말 고객 중 맞벌이 부부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 비중은 평일보다 훨씬 높다"며 "이들은 단순히 마트에서 물건을 사려고 오는게 아니라 키즈카페와 음식점 등 부속 편의시설까지 함께 이용하려는 고객인데,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의무화하면 이런 편의성도 함께 사라지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규제에 대한 반감이 거세자 오 의원실 측도 한발 물러선 모습이다. 오 의원실 관계자는 "유통법 개정안은 당론으로 정해진 것도 아니고, 대통령실과도 정책 추진이 조율된 바 없다"며 "소위 법안심사 등을 통해 충분한 협의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왔다. 전용기 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많은 신도시와 일부 도심 지역엔 전통시장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런 지역의 주민들에게 대형마트는 단순한 유통 채널이 아니라 생활 인프라 그 자체"라며 "공휴일에 문을 닫으면, 시민들은 불편함을 감수하거나 더 비싼 편의점이나 온라인 구매로 떠밀리게 된다"고 비판했다.

업계에선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에 기대를 걸고 있다. '실용주의'를 강조한 이 대통령이 경기 회복에 주력하겠단 입장을 밝힌 만큼 소비 위축과 소비자 후생 저하가 우려되는 규제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 않을 것이란 기대에서다.

유엄식 기자 usyo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