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재 전 용산서장 항소심 2차 공판…경찰 관계자 증인신문
희생자 유족 "특조위 보고서 나올 때까지 재판 중지해달라"
![]() |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22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리는 이태원참사 관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4.7.22/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
(서울=뉴스1) 홍유진 기자 = 10·29 이태원 참사 당시 용산 대통령실 인근 집회 현장에 경찰 인력이 집중돼 있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 대응 탓에 이태원역 인근에 배치될 경찰 인력이 없었다는 취지다.
서울고법 형사13부(부장판사 백강진 김선희 유동균)는 9일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송병주 전 112상황실장, 박 모 전 112상황팀장 등의 항소심 2차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 재판에서는 참사 당시 서울경찰청 경비과 소속이었던 A 씨와 용산경찰서 경비과에서 근무하다가 대통령실 용산 이전 후 경호팀장 직책을 맡았던 B 씨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뤄졌다.
A 씨는 '당시 대통령 탄핵 찬반집회 때문에 모든 경비 인력이 삼각지에 집중돼 있었느냐'는 이 전 서장 측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B 씨도 '참사 당일 용산서 경비과 전원이 집회 시위에 동원됐냐'는 질문에 "맞는다"고 답했다. 그는 "이태원역 인근에 배치될 경력은 없었던 걸로 안다"며 "삼각지역 중심으로 대규모 집회가 있어서 그쪽 주변으로 (경찰 인력이) 동원됐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인근 대규모 집회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면서 무전을 제대로 청취하기 어려웠다는 증언도 나왔다. B 씨는 "무전기를 귀에 대지 않으면 들을 수 없을 정도의 소음이 있었다"고 말했다.
무전을 들을 수 있는 경찰이 있어야 하지 않냐는 지적에 B 씨는 "무전 보고 체계상 112망에 들어온 무전을 경비과가 같이 듣지는 않는다"고 부연했다.
B 씨는 대통령실 이전 이후 용산경찰서의 경비 업무가 폭증해 초과 근무에 시달렸다는 취지로도 진술했다.
이날 재판에 참석한 희생자 유족들은 이태원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설치돼 진상규명에 나선 만큼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재판을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윤석보 씨는 "조사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재판을 무기한 연기해 줬으면 좋겠다는 게 159명 가족의 간절한 소망"이라며 "또 다른 증거가 나올 때 다시 재판할 수도 있다"고 호소했다.
이에 재판장인 백 부장판사는 "무조건 재판을 정지할 수는 없고 요청이 있다면 검토하겠다"며 "무리하게 몇 년 중지는 어렵지만 추가적인 증거가 나와서 도움이 된다고 보이면 유족 뜻에 따라 방법을 달리해 볼 여지가 있다"고 했다.
다음 기일은 오는 23일에 열릴 예정이다.
앞서 1심은 지난해 9월 이 전 용산서장에게 금고 3년, 송 전 상황실장에게 금고 2년, 박 전 상황팀장에게 금고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각각 선고했다.
cym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