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바이든 전립선암 뼈까지 전이돼…의료진 “효과적 관리 가능”(종합)

뉴시스 구자룡
원문보기

바이든 전립선암 뼈까지 전이돼…의료진 “효과적 관리 가능”(종합)

속보
법원, 김용현 구속 심사 연기…25일 10시로 기일 재지정
바이든 과거 뇌동맥류·고령 인지 논란으로 지난해 대선 하차
바이든 장남 2015년 뇌암 일종 교모세포종으로 사망
[바티칸=AP/뉴시스] 조 바이든(가운데) 전 미국 대통령과 아내 질 여사가 지난달 26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05.19.

[바티칸=AP/뉴시스] 조 바이든(가운데) 전 미국 대통령과 아내 질 여사가 지난달 26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05.19.



[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으며 이미 뼈로 전이됐다고 바이든 전 대통령 사무실이 18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측은 성명에서 “17일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으며 글리슨 점수 9점(5등급군)에 해당하는 공격적인 형태의 암(aggressive form)으로 이미 뼈로 전이된 상태”라고 밝혔다.

다만 의료진은 이 암이 호르몬에 반응하는 유형으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과 가족들은 현재 의료진과 치료 방안을 논의 중이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1월 82세로 미국 역사상 최고령 대통령으로 퇴임했다.

재임 기간 내내 고령과 건강 문제에 대한 의문에 직면했고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는 인지 능력 논란으로 중도하차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대부분 델라웨어주 자택에서 시간을 보내며 워싱턴으로 출퇴근하며 참모들과 만나 대통령직 이후의 삶을 계획하는 등 조용히 지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보도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최근에도 자신의 정신력 쇠퇴에 대한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더 뷰’ 인터뷰에서 “그들은 틀렸다. 그걸 뒷받침할 만한 게 전혀 없다”고 말했다.

로버트 허(50) 연방 특별검사는 2월 바이든이 과거 부통령 시절 취득한 기밀문서를 고의로 유출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기소할 사안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배심원단이 바이든을 “기억력이 좋지 않다”고 판단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든은 지난해 2월 대통령 재직 시 월터 리드 국립 군의료 센터에서 정기 검진을 받은 후 “복무에 적합하다”고 주치의는 말했다.

NYT는 바이든과 가족은 많은 여러 건강 문제가 있었다며 바이든은 1988년 정치 경력을 끝낼 위기에 처한 두 번의 뇌동맥류와 싸웠다고 전했다.


그의 아들 보는 2015년 공격적인 뇌암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으로 사망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1월 퇴임 직전 4년 더 대통령을 지낼 만한 활력이 남았는지 묻는 질문에는 모른다고 답했다.

그는 USA 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86살이 되면 어떻게 될지 누가 알겠느냐”고 말했다.

전립선암은 특히 고령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다.

전립선암은 대개 느리게 자라며 초기에는 전립선에만 국한되지만 일부는 공격적이어서 뼈를 포함한 신체의 다른 부위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배뇨 시 통증이나 어려움, 잦은 배뇨, 혈뇨 또는 정액 혼입 등이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drag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