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미 관세협상, 이번주 '2+2 협의'…트럼프 또 등판할까?

속보
법사위, 허위사실공표 요건서 ‘행위’ 뺀 선거법 개정안 통과


[앵커]

이번 주 미국과의 본격적인 관세 협의가 시작됩니다. 양측 재무와 통상 수장이 한꺼번에 테이블에 앉는 2+2 형식입니다. 일본과의 장관급 협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깜짝 등장하기도 했는데 이번에도 직접 나서 '방위비 인상'을 언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재승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가 열립니다.

우리 측에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합니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여합니다.

면담 날짜는 오는 24일이나 25일이 유력합니다.

우리 정부는 미국이 부과한 25%의 상호관세율을 낮추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미국 측은 지난해 566억 달러, 우리 돈으로 80조 6천여 억 원에 달한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방안을 요구할 걸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 문제까지 협의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원스톱 쇼핑'이라고 표현하며, 무역과 산업, 안보까지 아우르는 포괄적 협상을 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2024년 10월) : 내가 백악관에 있다면 한국은 (주한미군 주둔 비용으로) 연간 100억달러를 내야 할 겁니다. 한국도 흔쾌히 그렇게 할 거예요. 한국은 부자나라니까요.]

이에 지난주 미·일 장관급 협상 때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전면에 나서 방위비를 언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통상과 안보를 분리 대응하는 '투 트랙' 방침을 강조해왔습니다.

정부는 관세 최소화를 위해 미국이 원하는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지렛대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섣불리 타결하기보다 협의를 이어가겠다"며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정다정]

이재승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