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르 총리 "세계 경제, 경제 부족주의로 후퇴" 美관세 비판
시진핑 주석 "中디커플링, 보호무역주의에 반대...아세안과 협력할 것"
이날 철도, AI, 비자면제 등 30여개 협정 맺어져
시 주석, 17일 캄보디아로 출국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사해지내 개형제야(四海之內皆兄弟也·군자가 삼가며 잘못을 범하지 않고 타인에게 공손하여 예의가 있다면, 세상 모두가 형제일세)"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16일 말레이시아를 국빈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고전 '논어' 안연편 중 일부를 중국어로 인용하며 미중 관세 전쟁 속 중국 편에 섰다. 안와르 총리는 이날 "시장 접근성은 무기화되고 있고, 공동 성장을 위한 다자 협약은 자의적 간섭과 일방주의 앞에 무너지고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보호주의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이성적이고, 강인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찬사를 보냈다.
안와르 총리는 16일 오후 말레이시아 푸트르자야 총리공관에서 개최된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영광의 순간이든, 시련의 시기든 말레이시아는 중국의 확고하고 원칙 있는 친구로 남을 것"이라고 밝히며 양국 관계를 과시했다.
이날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와 일방주의를 작심하고 비판했다.
시진핑 주석 "中디커플링, 보호무역주의에 반대...아세안과 협력할 것"
이날 철도, AI, 비자면제 등 30여개 협정 맺어져
시 주석, 17일 캄보디아로 출국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오른쪽)이 16일 말레이시아 푸트르자야 총리공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신화외상 |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사해지내 개형제야(四海之內皆兄弟也·군자가 삼가며 잘못을 범하지 않고 타인에게 공손하여 예의가 있다면, 세상 모두가 형제일세)"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16일 말레이시아를 국빈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고전 '논어' 안연편 중 일부를 중국어로 인용하며 미중 관세 전쟁 속 중국 편에 섰다. 안와르 총리는 이날 "시장 접근성은 무기화되고 있고, 공동 성장을 위한 다자 협약은 자의적 간섭과 일방주의 앞에 무너지고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보호주의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이성적이고, 강인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찬사를 보냈다.
안와르 총리는 16일 오후 말레이시아 푸트르자야 총리공관에서 개최된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영광의 순간이든, 시련의 시기든 말레이시아는 중국의 확고하고 원칙 있는 친구로 남을 것"이라고 밝히며 양국 관계를 과시했다.
이날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와 일방주의를 작심하고 비판했다.
안와르 총리는 "다자주의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일부 국가는 공동 책임의 원칙을 저버리고, 또 다른 일부는 오랜 약속을 의심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글로벌 이니셔티브는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가 직면한 것은 세계화의 결함에 대한 정직한 성찰이 아니라, 경제 부족주의(tribalism)로의 후퇴"라고 관세를 무기로 각국과 협상에 나선 미국 측을 비판했다.
시 주석은 이날 말레이시아가 순회 의장국으로 있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말레이시아가 올해 아세안 의장국으로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삼은 것은 시대 흐름에 대한 통찰력을 보여준다"면서 "중국은 '탈동조화(디커플링), 보호무역주의, 높은 장벽을 쌓는 '작은 울타리'에 반대하며, 아세안과 함께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 업그레이드 의정서 조속 체결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고위급 전략적 '중-말 운명공동체' 구축 위한 3대 제안을 발표했다. 상세 내용으로는 △2+2 외교·국방 대화 메커니즘 구축 △ 양국 쌍원(Two Countries, Twin Parks) 프로젝트 업그레이드 △철도·해운 연계 강화, 말레이시아 항구를 '육해신통로' 허브로 육성 △유교-이슬람 문명 대화’ 플랫폼 공동 조성 △판다 보호 협력 연구 추진 등이 있다.
양국 정상은 회담 후 베트남 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회담 후 30개 이상 협력 문서 체결을 함께 지켜봤다. 주요 협력 분야로는 △디지털 경제 △인공지능(AI) △철도 △농산물 △비자면제 △판다보호 등이 포함됐다.
한편, 시 주석은 17일 말레이시아 일정을 소화한 후 아세안 내 대표적인 친중 국가인 캄보디아로 출국한다. 캄보디아는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가장 높은 수준인 49%의 관세가 예고되어진 바 있다. 시 주석은 앞선 베트남, 말레이시아 방문 때와 마찬가지로 경제 협력을 제안하며 반(反)트럼프 전선 구축에 나설 전망이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