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립부 탄 인텔 신임 최고경영자(CEO)./인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상 최악의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인텔이 3개월간 비어 있던 수장 자리에 립부 탄(65) 전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최고경영자(CEO)를 앉혔다. 이전 CEO였던 팻 겔싱어가 전설적인 엔지니어 출신에 오랜 기간 정체돼 있던 인텔의 설계, 제조 기술력을 끌어올렸다면, 탄 CEO는 세계 최대 설계자동화(EDA) 기업의 노하우를 녹여 생태계 친화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 인텔의 경쟁력과 시장 영향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인텔은 12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탄이 오는 18일부터 CEO직을 맡게 되며, 지난해 8월 떠났던 이사회에도 다시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탄은 당초 인텔 이사회 핵심 멤버였으나 전임 CEO인 팻 겔싱어와의 사업 견해 차이로 회사를 떠났었다. 탄은 인텔의 사업 전략과 보수적인 관료 문화를 고치려 했으나 내부 반발이 컸다고 한다. 탄이 이사회를 떠난 지 4개월 뒤인 작년 12월 겔싱어는 실적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이사회에 의해 해임됐다.
탄은 한때 반도체 업계를 주도했던 인텔의 경쟁력을 되살려야 하는 중책을 맡게 됐다. 인텔은 과거 개인용컴퓨터(PC) 중앙처리장치(CPU)를 중심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을 지배했지만,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고성능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데 한계를 보이면서 엔비디아 등 경쟁사에 뒤처졌다. 인텔의 텃밭이자 영업이익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일반 서버용 CPU 시장에서는 AMD의 기세에 점점 밀리면서 실적마저 악화했다. 인텔은 지난해 순손실 188억달러(약 27조2600원)를 기록하며 1986년 이후 첫 연간 적자를 냈다. 작년부터 인텔은 직원 1만5000여명을 감축하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 겔싱어와 대립했던 탄 CEO, 이사회의 선택 받은 이유는
주목할 점은 탄 CEO가 세계 EDA 업계 양대 축으로 평가받는 케이던스 CEO 출신이라는 점이다. EDA는 반도체 설계와 제조의 모든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 툴을 개발하는 회사로 업계에서는 소위 ‘슈퍼을’로 불린다. 반도체의 설계 시점부터 최종 제조 양산 과정까지를 들여봐야 하는 EDA 업체 특성상 팹리스, 종합반도체기업(ID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의 돈독한 협업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겔싱어 전 CEO와 탄 신임 CEO가 지난해 파운드리 사업과 관련 의견 충돌이 발생했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업계에서는 겔싱어가 인텔의 퇴화한 공정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면, 탄 CEO는 생태계와의 조화를 더 강조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텔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접근법에서 탄 CEO는 좀 더 고객사 친화적인 접근법을 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탄 CEO는 과거 케이던스를 이끌며 다수의 대형 고객사와 돈독한 파트너십을 맺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인텔 의사회 의장인 프랭크 이어리는 “탄은 케이던스 CEO 재임 시절 고객 중심 혁신을 바탕으로 회사 문화를 바꿨고, 매출은 두배 이상 늘렸으며 영업이익률도 확대해 주가 상승률은 3200%를 넘었다”며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을 인텔에서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텔 역사상 첫 아시아계 CEO기도 하다. 말레이시아에서 태어나서 싱가포르에서 자란 그는 난양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미 MIT에서 원자력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대학에서 MBA를 받고 벤처 투자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후 2004년 미국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인 케이던스 이사회에 합류했다. 이후 2008년 공동 CEO를, 2009년부터는 단독 CEO를 맡아 이후 10년 이상 회사를 이끌며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케이던스와 경쟁사인 시놉시스의 양강 체제를 확립했다.
◇ 탄 CEO “인텔 파운드리, 세계적인 수준으로 키울 것”
탄은 적자 늪에 빠진 인텔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전임자 겔싱어는 인텔을 세계 최대 파운드리 대만 TSMC에 비견할 만한 회사로 만들겠다며 2021년부터 대규모 투자를 이어왔다. 그러나 인텔 파운드리 사업은 지난 3년간 매해 7~14조원 이상의 적자를 보고 있다. 탄은 인텔 파운드리 모델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인텔을 세계적인 제품 기업으로 재건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파운드리를 구축해 고객들에게 더 큰 만족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는 우리가 미래를 대비해 인텔을 재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탄은 직원들에게 회사를 재건할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결코 쉽지 않겠지만, 인텔이 승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굳게 믿기에 합류했다”며 “인텔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기술 생태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탄 CEO 임명 소식에 시장은 반색했다. 지난 1년간 54% 하락한 인텔 주가는 이날 장외 거래에서 11% 급등했다. 현재 인텔의 시가 총액은 895억달러(약 130조원)로, 반도체 업계 시총 기준 ‘톱 10′ 기업에도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리서치업체 번스타인의 스테이시 라스곤 연구원은 “인텔에는 탄을 뽑는 게 최적의 선택이었을 것”이라며 “탄이 인텔을 회생시키지 못했다면 그건 애초에 인텔이 되살릴 수 없는 회사였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말했다.
밥 오도넬 테크애널리시스리서치 수석 연구원은 “탄은 인텔에 훌륭한 적임자”라며 “그는 반도체 제조와 설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업계에서 매우 폭넓은 인맥을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앤셸 사그 무어인사이츠 연구원은 “탄은 안정성과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며 “그의 영입은 인텔이 현재 방향을 유지하면서 파운드리 사업과 제품 개발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황민규 기자(durchman@chosunbiz.com);최지희 기자(he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