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서부 만달루용의 한 마을에서 카를리토 세르날(가운데) 이장이 주민이 잡아 온 모기 유충이 담긴 용기를 여과기에 붓고 있다. 필리핀 마닐라 중심부에 뎅기열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 지역에서는 뎅기열 확산을 막기 위해 모기나 모기 유충을 잡아오는 사람에게 모기나 유충의 생사 여부에 상관없이 5마리당 1페소(25원)을 지급하기로 했다./AFPBBNews=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뎅기열 발병이 급증하자 필리핀 마닐라 인근의 한 마을에서는 모기를 잡아오는 주민에게 보상금을 주기로 했다.
19일 BBC, AP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마닐라 인근의 만달루용시의 애디션 힐스 마을 이장인 카를리토 세르날은 모기나 모기 유충을 잡아올 경우 생사 여부에 상관없이 5마리당 1페소(약 25원)의 보상금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뎅기열 발병이 급증하면서 나온 조치다. 수집된 모기는 자외선을 이용해 박멸하기로 했다.
보상금 지급이 시작된 후 21명이 마을 사무소에서 보상금을 받아갔으며, 총 700마리의 모기와 유충이 수집됐다. 64세의 청소부 미겔 라바그는 45마리의 모기 유충이 물 속에서 꿈틀거리는 주전자를 건네주고, 9페소(약 225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그러나 사람들이 보상금을 받기 위해 모기를 번식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상금 지급이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을 지도자 세르날은 뎅기열 발생이 줄어들면 보상금 지급을 즉각 중단할 것이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봤다.
![]() |
19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인근 애디션 힐스 마을에서는 뎅기열을 근절하기 위해 모기나 모기 유충 한 마리를 잡아올 경우 생사에 상관 없이 1페소(한화 약 25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마을 관리가 주민들이 잡아온 모기를 가두는 모기 살충기에 라벨을 붙이고 있는 모습이다. /AFPBBNews=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필리핀 보건부 통계에 따르면 필리핀에서는 올 들어 2월1일까지 최소 2만8234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급증한 수치다. 인구 10만명의 애디션 힐스 마을은 올해 42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고, 어린 학생 2명이 숨지자 뎅기열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인근 도시인 케손시에서 올해 발생한 뎅기열 환자는 1769명으로, 대부분이 어린이다. 이에 케손시는 지난 15일 어린이 10명이 숨지자 뎅기열 발병을 선언한 바 있다. 케손시의 다른 마을 관계자들은 모기를 잡아먹는 개구리 떼를 풀어놓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필리핀 당국은 뎅기열 감염이 증가했음에도 불구, 치사율은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뎅기열 발병이 급증한 이유로는 기후 변화가 건기의 폭우에 영향을 미치면서 간헐적 폭우로 물 웅덩이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되는 병이다. 열대 지방에서 흔히 발생하며, 바이러스를 옮기는 모기가 번식하기 쉬운 지역에서 종종 발생한다.
뎅기열에 걸리면 갑작스러운 고열이 3~5일간 계속되고, 심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이 생긴다. 초기엔 신체 전반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고, 온몸에 피부 발진이 퍼진다. 심하면 호흡 곤란, 출혈, 장기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은 기자 iameu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