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우리 주력 수출품목으로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자동차에 25% 수준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는데, 이 관세가 현실화하면 우리 기업이 얼마나 타격을 받게 되는 건지 김주영 기자와 함께 따져보겠습니다. 김 기자, 관세 25%가 적용되면 아무래도 가격 문제가 크겠죠?
[기자]
맞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겁니다. 예를 들어 현대의 투싼 하이브리드는 미국에서 현재 기본 가격이 4800만원, 경쟁 모델인 혼다CR-V는 4980만원으로 혼다가 약간 더 비쌉니다. 그런데 투싼은 현재 한국 울산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서 관세 부과 대상이고, 혼다 CR-V는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생산돼 관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관세 25%를 맞으면, 투싼만 1000만원 가량 가격이 오르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앵커]
자동차 업계 전체 타격은 어느 정도로 예상됩니까?
[기자]
한국 자동차의 미국 수출액은 지난해에 50조원 가량이었는데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0% 관세를 부과하면 연간 총수출액이 4조 원정도 줄어들고요.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9조 원 넘게 줄어든단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총 수출액의 5분의 1이 줄어드는 셈입니다.
[앵커]
각 기업들도 비상일텐데, 어떤 대책들을 세우고 있습니까?
[기자]
일단 현대 기아차는 미국내 생산량을 최대한 늘리는 방향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 앨라배마 공장이 연간 36만대, 조지아 공장이 34만대를 생산할 수 있고요. 올해 가동을 시작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이 완전히 가동돼 50만대를 생산하면 총 연간 120만 대를 미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미국 수출량은 170만대로 이렇게 총력 가동을 해도 수출량 전부를 소화하기는 어렵습니다.
타격이 크겠네요. 트럼프가 4월로 예고한 상태인데, 25% 관세, 정말 부과되는 겁니까?
[기자]
강행하긴 쉽지 않을거란 분석이 조심스럽게 나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당시 미국 상무부가 자동차 관세를 25% 매기겠다면서 경제 영향을 조사했었는데요, GM이나 포드 등 미국 자동차 기업들이 강력하게 반대하고, 미국 내 물가 상승 우려로 무산됐습니다. 이번에도 관세가 부과되면 멕시코와 한국에 모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미국 기업 GM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때문에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 관세는 25%를 고집하기보단, 협상을 위한 카드로 쓸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경유 /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자동차 산업 특성상 100% 다 자국에서 부품을 조달해서 생산하기는 어렵거든요. 이런부분들을 생각한다고 하면 25%를 다 올리기는 어렵다라고 보고 있거든요."
[앵커]
결국은 어떻게 협상하느냐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네 전문가들은 자동차 부문에 있어서는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량을 강조하고, 쿼터제나 종목별 차등 관세 등 여러 전략을 고안해야된다고 조언했고요. 전반적으로는 무기류나 LNG 등 다른 품목의 수입량을 늘려 대미 흑자를 줄여주는 방안도 카드로 거론됐습니다.
허윤 /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흑자를 줄일 수 있는 그 나라 입장에서 안을 가지고 오라는 겁니다. 트럼프 입장에서는 어떻게 하면 미국이 이 다른 나라에 대한 무역 적자를 줄일 것인가 거기에 균형 무역의 초점이 가 있는 거죠."
[앵커]
이제 한 달 조금 넘게 남았는데, '국가 리더십 공백' 상태지만 최대한 여러 채널을 가동해 협상에 총력을 다해야겠습니다. 김 기자, 잘 들었습니다.
김주영 기자(chu0@chosun.com)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우리 주력 수출품목으로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자동차에 25% 수준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는데, 이 관세가 현실화하면 우리 기업이 얼마나 타격을 받게 되는 건지 김주영 기자와 함께 따져보겠습니다. 김 기자, 관세 25%가 적용되면 아무래도 가격 문제가 크겠죠?
[기자]
맞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겁니다. 예를 들어 현대의 투싼 하이브리드는 미국에서 현재 기본 가격이 4800만원, 경쟁 모델인 혼다CR-V는 4980만원으로 혼다가 약간 더 비쌉니다. 그런데 투싼은 현재 한국 울산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서 관세 부과 대상이고, 혼다 CR-V는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생산돼 관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관세 25%를 맞으면, 투싼만 1000만원 가량 가격이 오르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앵커]
자동차 업계 전체 타격은 어느 정도로 예상됩니까?
[기자]
한국 자동차의 미국 수출액은 지난해에 50조원 가량이었는데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0% 관세를 부과하면 연간 총수출액이 4조 원정도 줄어들고요.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9조 원 넘게 줄어든단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총 수출액의 5분의 1이 줄어드는 셈입니다.
[앵커]
각 기업들도 비상일텐데, 어떤 대책들을 세우고 있습니까?
[기자]
일단 현대 기아차는 미국내 생산량을 최대한 늘리는 방향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 앨라배마 공장이 연간 36만대, 조지아 공장이 34만대를 생산할 수 있고요. 올해 가동을 시작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이 완전히 가동돼 50만대를 생산하면 총 연간 120만 대를 미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미국 수출량은 170만대로 이렇게 총력 가동을 해도 수출량 전부를 소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앵커]
타격이 크겠네요. 트럼프가 4월로 예고한 상태인데, 25% 관세, 정말 부과되는 겁니까?
[기자]
강행하긴 쉽지 않을거란 분석이 조심스럽게 나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당시 미국 상무부가 자동차 관세를 25% 매기겠다면서 경제 영향을 조사했었는데요, GM이나 포드 등 미국 자동차 기업들이 강력하게 반대하고, 미국 내 물가 상승 우려로 무산됐습니다. 이번에도 관세가 부과되면 멕시코와 한국에 모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미국 기업 GM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때문에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 관세는 25%를 고집하기보단, 협상을 위한 카드로 쓸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경유 /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자동차 산업 특성상 100% 다 자국에서 부품을 조달해서 생산하기는 어렵거든요. 이런부분들을 생각한다고 하면 25%를 다 올리기는 어렵다라고 보고 있거든요."
[앵커]
결국은 어떻게 협상하느냐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기자]
네 전문가들은 자동차 부문에 있어서는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량을 강조하고, 쿼터제나 종목별 차등 관세 등 여러 전략을 고안해야된다고 조언했고요. 전반적으로는 무기류나 LNG 등 다른 품목의 수입량을 늘려 대미 흑자를 줄여주는 방안도 카드로 거론됐습니다.
허윤 /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흑자를 줄일 수 있는 그 나라 입장에서 안을 가지고 오라는 겁니다. 트럼프 입장에서는 어떻게 하면 미국이 이 다른 나라에 대한 무역 적자를 줄일 것인가 거기에 균형 무역의 초점이 가 있는 거죠."
[앵커]
이제 한 달 조금 넘게 남았는데, '국가 리더십 공백' 상태지만 최대한 여러 채널을 가동해 협상에 총력을 다해야겠습니다. 김 기자, 잘 들었습니다.
김주영 기자(chu0@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