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7 (목)

中 딥시크 쇼크에…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HBM에 큰 기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곽 사장 "저가형 AI 모델은 큰 자극제"…HBM 수요 확대 전망

"올해 하반기 낸드 좋아질 것…업계 전체가 노력 중"

연합뉴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19일 '세미콘코리아 2025 리더십 디너' 행사 이후 취재진을 만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2.19. burni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19일 '딥시크 출현으로 인한 시장 영향'에 대해 "특정한 제품(딥시크)에 대해 언급하긴 어렵지만, 그런류(저가형 AI 모델)의 시도가 많이 나오면 결과적으로는 인공지능(AI) 보급에 굉장히 큰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8시께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25 리더십 디너'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단기적으로는 (AI 반도체) 수요의 변동이 예상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AI가 본격적으로 산업이나 사회에 스며들고 퍼지는 계기가 돼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포함한 반도체 쪽으로는 더 큰 기회가 올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업계에선 딥시크가 약 2천개밖에 되지 않는 중국용(저사양) 엔비디아 AI 가속기를 사용한 만큼 가속기에 탑재되는 HBM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최근 고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및 메모리 중심에서 맞춤형 AI칩과 보급형 메모리로 AI 시장이 다변화됨에 따라 HBM 시장 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딥시크 영향에 대한 전망은 달라지고 있다.

곽 사장의 이날 발언 역시 딥시크가 새로운 기폭제로 HBM과 같이 AI 반도체 시장을 더욱 키울 것이라는 취지로 해석된다.

빅테크들이 AI 관련 시설투자(캐펙스·CAPEX) 투자를 늘리는 것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보탠다.

업계에서는 주요 클라우드서비스공급자(CSP)의 AI 데이터센터 투자가 확대되면서 GPU를 비롯한 HBM 등 AI 반도체 수요는 더욱 늘 것으로 보고 있다.

클락 청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시니어 디렉터는 이날 오전 세미콘코리아 2025 기자간담회에서 "상위 CSP의 설비 투자 규모는 2018년 800억 달러 수준에서 작년에는 2천억 달러, 올해는 2천500억 달러로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 321단 1Tb TLC 4D 낸드 플래시
[SK하이닉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둔화하고 있는 낸드 시장에 대해 곽 사장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곽 사장은 "낸드 공급 초과로 업계가 감산을 해왔고 올해 연말 정도쯤이면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낸드 시장 안정화를 위해 업계 전체가 모두 노력하고 있으니 조금만 지나면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시장에서도 낸드 가격이 올해 1, 2분기까지 하락하다가 3분기부터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곽 사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나온 것이 없어서 말하기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HBM,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등을 이을 차세대 메모리 '소캠'(SOCAMM)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SOCAMM은 엔비디아의 새로운 소형 AI 서버용 메모리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곽 사장은 "반도체 응용이 다변화하면서 애플리케이션도 과거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다변화하고 있다"며 "(소캠도) 변화의 트렌드 중 하나로, 고객들이 코스트(비용)나 성능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곽 사장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으로는 이날 행사가 마지막 공식 일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곽 사장은 그동안 협회장으로서의 소회를 묻는 말에 "반도체가 역사의 중심에 이렇게 선 적이 없었는데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었다"며 "유례없는 다운턴(하락기)도 겪었고 이제는 AI 도래로 빅웨이브가 온 상황인데 우리(한국)가 잘 올라탈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업계 한사람으로서 서포트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2022년부터 반도체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곽 사장의 임기는 이달 말까지로, 차기 협회장으로는 송재혁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리더십 디너 행사에는 곽 사장과 송 사장을 포함해 500여명의 글로벌 반도체 리더 및 임원들이 모여 반도체 산업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burni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