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2배 웃돌아… 수출 직격탄
의약품도 25% 이상 부과할 듯
“1년에 걸쳐 관세 더 인상될 것”
4월초 정부 공식발표 전 폭탄발언
“美 들어올 시간 줄 것” 투자 압박
국내 車수출액 절반이 대미 수출
부품업체 줄타격·한국GM 철수론
최태원 회장, 사절단과 美 출장길
정부 당국자 美인사들 접촉 나서
“예견된 일” 기업들 대책 실행 분주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사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관세를 어느 정도로 부과할 것이냐는 질문에 “아마 여러분에게 4월2일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예고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가 어느 정도가 될지에 대한 질문에도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다. 관세는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에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바 있다. 철강, 자동차, 반도체 모두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4월2일이나 발표 시점 이후 곧바로 부과하기보다는 관세 발효까지 시간을 갖고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미국으로 옮기도록 유도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韓수출효자들 콕 집어… “美에 공장 설립 땐 무관세”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그들(기업들)에게 (미국에 투자하러) 들어올 시간을 주고 싶다”며 “그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 |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화물차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단계별로 관세를 올려 각국 기업들에 대한 압박 강도를 점차 높여가겠다는 의도를 시사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 일부”가 자신에게 연락해 왔다면서 “그들은 우리가 관세와 세금, 인센티브를 통해 경제적으로 하는 일 때문에 미국으로 돌아오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과 관련된 기업들이 앞으로 수주 내로 미국 투자와 관련된 발표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대상 기업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최소 25%로 언급하자 국내 업계에선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당초 업계에서는 자동차 관세로 10%가량을 관측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예상의 두 배를 웃도는 수치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고도의 국제 분업체계가 형성된 자동차업계에서 트럼프 행정부에게 자동차 관세를 면제 받은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들이 생기면 공급망에 변화가 올 수 있다.
![]() |
울산 북구 염포동 염포누리전망대에서 바라본 현대자동차 선적장에 수출 자동차들이 가득차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19일 “국내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의 비중이 절반 이상인데, 여기에 관세가 부과되면 국내 자동차업계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며 “관세 부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국내에서 미국 현지로 공장 이전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의 지난해 수출액은 707억8900만달러(약 102조원)로 이 중 대미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49.1)였다. 구체적으론 지난해 현대차·기아와 한국GM이 미국에 수출한 차량은 각각 101만3931대와 41만872만대였다. 이 중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 공장 생산 증가로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공장 가동률이 높은 수준이어서 공장 가동을 더 늘리기가 쉽지 않다. 또 현대차·기아에서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종 중 일부는 한국에서만 생산되는 것도 문제다.
미국 현지에 공장 설립이 사실상 불가능한 자동차 부품 업체와 한국GM의 경우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국내 자동차 부품 업계가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기에는 자본력이 부족해 관세 피해를 고스란히 보게 될 것”이라며 “미국 기업인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법인인 한국GM은 관세가 부과되면 한국에서 공장을 철수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崔회장 “美정부 고위급과 미팅 예정”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을 이끄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19일 미국 워싱턴으로 떠나기 위해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 들어서고 있다. 경제사절단에는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철강, 조선, 에너지, 플랫폼 등 산업 대표 26명이 참여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와 재계는 트럼프 행정부와 접촉하며 대책 찾기에 나섰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이날 대미(對美) 통상 아웃리치(접촉)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 출장길에 오르면서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와 미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업체가 조 바이든 행정부와 맺은 보조금 지급 계약을 트럼프 행정부가 재검토하고 일부 재협상하려 한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담당 차관보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가 시작된 뒤 한국 당국자로서는 처음 미국을 찾아 미 정부 인사들을 접촉 중이다. 그는 앞서 현지에서 기자들을 만나 “고위급 인사들이 협의할 기회가 조만간 생기지 않을까 한다”고 말해 4월 전까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고위당국자들의 방미도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철강·반도체·의약품 관세 부과 방침에 영향 받는 국내 기업들은 이전부터 고심해 온 대책 실행에 나서는 분위기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이날 협회 이사회에 앞서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배터리 산업의 영향에 대해 “예견했던 시나리오 중 일부”라며 대미 투자와 관련해선 “시나리오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업체 셀트리온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1월 말 기준 약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마무리했다”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외국 기업의 생산 거점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무역적자를 해소하는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 중 하나다. 그는 이날 마러라고 기자회견에서 유럽연합(EU)이 상호 관세를 피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게 무엇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EU와 교역에서) 3500억달러 적자를 보고 있고, 그들은 우리 자동차와 농산물을 수입하지 않는다”며 “그들은 거의 수입하지 않고 매우 조금만 수입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이 지난해 557억달러(약 80조2000억원)였던 만큼 이와 관련해서도 미국이 직접 불만을 제기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에너지 수입을 늘리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송은아·이복진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