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세안 분유 수출액 442억원 사상 최대
절반 이상 캄보디아 수출..한류붐·중산층 성장 덕
90%가 남양 제품..전용 제품 출시·마케팅 차별화
![]() |
캄보디아 분유 시장에서 판매되는 수입산 분유 제품. 이미지ㅣ2024년 캄보디아 국가조사 보고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저출산에 따른 분유 매출 감소에 고전하는 유업계가 동남아시아 수출로 활로를 찾고 있습니다. 한국산 분유가 동남아에서 안전과 품질을 갖춘 '프리미엄 분유'로 인식되는 가운데 다양한 현지화 마케팅이 성과를 내면서 글로벌 브랜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경쟁력을 인정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에 팔린 한국산 분유 수출액은 3070만달러(약 442억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9.9% 증가한 수치이자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아세안 국가로 수출된 한국산 분유의 총 금액은 지난 2014년 1050만달러(약 151억원)에서 10년 만에 3배(192%)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분유 수출량은 932톤에서 2465톤으로 2.6배 커졌습니다. 2023년 기준 아세안에 가입된 동남아 10개국 인구는 6억8500만명에 달합니다. 한국의 13.2배입니다.
지난해 한류 붐의 핵심 시장 중 하나는 캄보디아였습니다. 무역협회 수출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 캄보디아 수출은 6억6000만달러(약 9499억원)로 전년 대비 14.2% 증가했습니다. 한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는 동남아에서도 캄보디아는 가장 높은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중 낙농업이 지난해 캄보디아 품목별 수출순위에서 12위를 차지했는데 수출의 99.7%가 바로 분유제품입니다. 한류 인기와 더불어 현지 소득수준 증가 및 중산층 성장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가로 인식돼 온 한국산 분유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습니다. 또 한국산 분유는 안전하게 소비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한국산 영유아 식품 수요가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로의 분유 수출액은 2014년 110만달러에서 지난해 1560만달러(약 225억원)로 10년 만에 14배 뛰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출량 역시 114톤에서 1543톤으로 13.5배 늘었습니다. 캄보디아 조제분유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 점유율 역시 2019년 3.3%에서 2023년 14.8%로 급성장했습니다. 2023년 기준 캄보디아 인구는 1712만명이며 출산율은 2.26명으로 한국의 3배에 달합니다.
캄보디아는 조제분유와 관련해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데 국내 캄보디아 분유 수출물량의 80~90%가 남양유업 제품입니다. 남양유업은 프랑스 '듀멕스', 미국 '애보트' 및 '네슬레' 등 글로벌 브랜드들과 캄보디아 분유 시장에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조제분유 시장 내 남양유업 점유율은 약 20%로 2위 경쟁이 치열합니다.
![]() |
캄보디아 현지 옥외광고(왼쪽)와 캄보디아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 노출 중인 남양유업 분유제품. 사진ㅣ남양유업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남양유업은 캄보디아 분유 시장에서 제품을 이원화하는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자사 대표 제품 '임페리얼XO'를 현지에서 똑같이 판매하는 동시에 캄보디아 전용 분유 제품 '스타그로우'를 론칭하했습니다. 수출 초 현지 시장 정착을 위해 한류에 관심이 많은 젊은 세대를 겨냥해 TV광고, 라디오, 온라인 경로 홍보를 강화했습니다.
현지 인기 예능 프로그램 스폰서로도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남양유업은 국내에서는 대중적이지만 현지에서는 낯선 임산부·산모 대상 '임신육아교실' 등을 차별화 마케팅으로 설정하고 국내 분유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했습니다. 영업과 판촉 등 현지 200여명의 직원을 통해 저변을 확대하고 병원·조리원 대상 마케팅 등 채널을 다양화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사실 K-분유 인기는 캄보디아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난해 대 베트남 분유 수출액은 1500만달러(약 216억원)로 10년 새 1.6배 늘었습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롯데웰푸드의 성장세가 가파른데 롯데웰푸드는 베트남 특화 분유 제품인 뉴본을 앞세워 현지 거래처와 관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동후디스도 베트남으로 어린이 균형 영양식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국산 분유 인기 수요가 늘고 있지만 특히 캄보디아 분유 시장 성장성이 높은 이유는 시장 내 한국 제품 점유율이 주변국 대비 낮기 때문입니다. 캄보디아 수입시장에서 한국 제품 점유율은 3.9%로 베트남(10.0%), 인도네시아(6.7%), 말레이시아(6.1%) 등 인근국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캄보디아 조제분유 시장 규모는 지난해 8469만달러(약 1219억원)로 추정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4.7%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한국 분유의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아 캄보디아 엄마들의 사랑과 관심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며 "해외 분유시장 활로 확대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2013~2025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