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0 (목)

"尹, 의원체포 지시"…헌재 증거 채택한 진술조서 신빙성 놓고 공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측 "체포대상자 진술 일치" …홍장원 진술 번복

조지호 조서엔 "尹 의원체포 지시"…尹측 "신뢰 못해"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2025.2.1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밝음 기자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주요인사 체포 지시 등 주요 쟁점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오는 20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증인으로 재차 출석한다. 헌재와 출석을 협의 중인 조지호 경찰청장까지 증인으로 나올 경우 치열한 진실 공방이 예상된다.

국회측 "조지호·여인형·홍장원 체포대상자 진술 일치"

국회 측은 전날(18일) 9차 변론에서 "조 청장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 전 차장이 진술하는 체포대상자 명단과 상호 간 통화한 사실, 체포를 위해 위치 추적을 요청한 사실이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측이 공개한 조 청장 진술조서에 따르면 여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당일 오후 10시 30~40분 사이 조 청장과 통화에서 메모해 달라며 '이재명·우원식·박찬대·정청래·김명수·권순일·김동현' 등 15명을 불러줬다. 여 전 사령관은 두 번째 통화에서 급한 톤으로 짧게 "한동훈 추가입니다"라고 말하면서 체포 대상자가 총 16명이 됐다는 게 조 청장 진술이다.

여 전 사령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체포대상자 14명 명단을 들었다고 진술했다. 그는 "14명 명단 대다수가 평소 윤 대통령이 부정적으로 말하던 사람들"이라며 이들이 각각 어떤 점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지까지 수사기관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여 전 사령관은 "워낙 자주 부정적 평가를 들었던 사람들이라 명단을 외우기가 어렵지 않았다"라고도 했다.

홍 전 차장도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 명단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회 측은 여 전 사령관이 군검찰 조사에서 "당시 홍 전 차장이 '전화로 도와줄 게 없냐'고 묻자 (김용현 전) 장관이 말해준 명단을 전하고 도와달라고 말했다"고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여 전 사령관은 통화 내용에 대해 "홍 전 차장이 일반전화로 연락해 찜찜해서 통화 내용을 명확히 기억난다"고 말했다고 한다.

홍 전 차장은 특히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하기 10여분 전에 윤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전화를 받는다. 윤 대통령은 통화에서 "봤지? 비상계엄 발표하는 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고 말했다고 검찰은 윤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에 적시했다.

뉴스1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을 비롯한 증인들이 각각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헌법재판소 제공) 2025.2.4/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尹측 "체포 지시 안해"…홍장원, 메모 장소 공터→사무실 진술 번복

그러나 윤 대통령 측은 정치인 체포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전면 부인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김용현 전 장관은 본 법정에서 (윤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은 바 없다고 했고, 여 전 사령관도 대통령한테 지시받을 위치가 아니며 받지 않았다고 증언했다"고 반박했다. 구민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의 검찰 진술을 인용해 "체포명단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았고, 체포조는 조를 편성하다 보니 나오게 된 말"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은 김대우 전 방첩사 단장의 진술을 언급하며 여 전 사령관이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3명에 집중하라"고 지시했을 뿐이고, 이를 김 전 단장이 부하들에게 "집중해서 체포하라"고 지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명령이 하달되면서 평소 체득된 매뉴얼에 따라 임무가 확대됐다"는 게 윤 대통령 측 주장이다.

윤 대통령 측은 또 홍 전 차장의 진술이 바뀐 점도 오는 20일 변론기일에서 집중적으로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홍 전 차장은 전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체포명단을 작성한 장소가 국정원장 공관 앞 공터가 아니라 국정원 본청에 있는 자신의 집무실이었다고 진술을 정정했다.

그는 "어두운 관저 공터에서 메모지를 꺼내 적으려다가 일반폰으로 전화하고 있더라. 그래서 보안폰으로 하자고 해서 전화를 끊었다"며 "집무실에 들어가서 앉지도 못한 상태에서 여 전 사령관에게 다시 전화했다. 명단을 전화를 든 상태에서 조급하게 메모지를 꺼내서 막 적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홍 전 차장이 헌재 증인으로 출석해 "(체포 명단을) 국정원장 관사 앞 공터에서 주머니에 있던 수첩에 받아 적었다"며 "사무실에 와서 보니 알아보기 어려워 보좌관을 불러 정서를 시켰다"고 설명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지점이다.

조지호 진술엔 "尹, 의원 체포 지시"…尹측 "신뢰할 수 없다"

윤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는지도 여전히 쟁점이다.

국회 측이 전날 공개한 조 청장 피의자 신문조서에 따르면 조 청장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6차례 전화해 "조 청장, 들어가는 의원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는 취지의 지시를 반복했다고 진술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도 윤 대통령이 전화해 "4명씩 들어가면 1명씩 데리고 나올 수 있지 않냐"며 "문을 부수고라도 데리고 나와"라고 지시했다고 검찰 참고인 진술 및 군검찰 피의자 진술에서 일관되게 밝혔다고 한다.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역시 윤 대통령이 전화해 "아직 의결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더불어민주당의 곽 전 사령관 회유 의혹을 제기하며 "곽 전 사령관의 법정과 국회 진술은 김병주·박범계 민주당 의원에 의해 오염된 상태라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 청장 진술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은 "대통령은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국회 외곽에서 의원을 막지 않고 들여보낸 사실을 칭찬했고, 계엄이 끝난 후에도 김 전 청장 덕분에 국회가 빨리 계엄해제를 의결했고 계엄이 잘 끝났다고 칭찬하듯 전화했다"며 "대통령의 이런 전화 내용을 살펴보면 조 청장에게 갑자기 6회나 걸쳐 '의원들 체포해 끌어내'라고 지시했을 리 만무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 청장은 대통령 지시를 받았다면 복명복창했을 것인데 어떤 내용도 복명복창하지 않고 6번 전화에 대해 예하 부대에 어떤 내용도 전파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여 전 사령관의 전화를 받고선 필요한 조치를 하라고 부하들한테 전파했는데,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는 아무런 지시하지 않았다는 건 조 청장의 말을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bright@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