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금)

'공공데이터포털'서 개방한 공공데이터 10만건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일데이터 8만5천건 가장 많아…공공데이터 활용 서비스 3천131개 창출

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4회 연속 1위…"AI 개발 위한 비정형 데이터 개방 촉진"

연합뉴스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2013년부터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개방한 공공데이터 수가 10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행정안전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2013년 554건의 공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처음 개방한 뒤로 2017년 2천476건, 2020년 6천842건, 2022년 1만642건, 2024년 1만1562건 등 올해 1월 기준 10만2천52건의 공공데이터가 누적 개방됐다.

개방된 데이터 중에서는 파일데이터가 8만5천967건으로 가장 많았다. 오픈API 1만1천859건, 연계데이터 4천226건으로 집계됐다.

데이터 분야를 보면 공공행정(14.9%), 문화관광(12.1%), 산업고용(9.3%), 교통물류(8.3%) 등의 순으로 많았다.

개방된 공공데이터의 98.6%는 파일 확장자가 CSV나 XML 같은 오픈포맷 데이터였다. 이런 형식의 데이터는 특정 소프트웨어(SW)에 제한되지 않고 기계 판독이 가능해 데이터 활용성이 높은 게 특징이다.

연합뉴스

공공데이터 활용 서비스 주요 사례
[행정안전부 제공]



개방된 공공데이터는 다양한 서비스 창출에도 기여했다.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기초자료 등을 활용한 부동산 플랫폼 '직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병원·보험데이터를 활용한 병원예약 '굿닥', 기상청 중기예보, 기상특보 정보를 활용한 날씨정보 '케이웨더' 등 모두 3천131개의 웹·앱 서비스가 개방 데이터를 활용해 창출됐다.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통해서는 각종 스타트업들이 탄생했다. 경진대회 수상팀 137팀 중 60%가 창업에 성공했고, 투자유치액도 300억원을 넘었다. 이들 스타트업이 출원한 특허는 207건이나 됐다.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은 국제 무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분야에서 4회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제1회 OECD 디지털정부 평가 '열린정부' 부문에서도 1위에 올랐다.

행안부는 앞으로 국민·기업의 수요가 높은 분야별 핵심 데이터를 중심으로 개방을 촉진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개발 수요가 큰 만큼 그간 개방이 미진했던 이미지, 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 중심의 개방 정책을 추진한다.

행안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고, 비정형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2026년 상반기까지 공공데이터 포털을 고도화한다.

아울러 데이터 개방 저해 요인 해소, 가명처리 데이터 활용, 품질인증 법적 근거 마련 등을 위해 공공데이터법 개정도 추진한다.

eddi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