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7 (목)

김부겸 "개딸, '수박'이란 용어 쓰지 말아달라" 호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18일 경기 광명역 웨딩홀에서 열린 '희망과 대안' 포럼 출범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강성 친명(친이재명) 성향 당원인 이른바 '개혁의딸'(개딸)을 향해 "'수박'이라는 단어는 민족사에서 희생과 상처, 피를 상징하는 단어다. 희생된 많은 국민을 생각한다면 그 용어를 쓰지 않기를 호소드린다"라고 밝혔다.

18일 김 전 총리는 KTX 광명역에서 열린 비명계 인사들 모임 '희망과 대안포럼' 창립식에 참석해 "여러분이 쓰는 분열과 증오의 언어가 대한민국을 고통에 몰아넣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내 비이재명(비명)계 대권 주자로 꼽히는 김 전 총리는 "개혁의딸로 일컬어지는 민주당 열혈 지지층 여러분 정말 고맙다. 여러분 덕에 민주당이 어려운 시기를 이겨낼 수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지금 여러분이 보이는 행태는 한 번 더 고민하고 바꿔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연대의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통합과 공존의 정치가 중요하다"며 "다양성과 민주성, 포용성이 사라진 민주당에는 미래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부의 다양성을 부정하고 다른 목소리를 배척하는 민주당은 과거에도 없었고 미래에도 없을 것"이라며 "의견이 다르다고 몰아세우고, 갈라치기를 하면서 어떻게 국민들에게 통합과 미래를 얘기할 수 있겠나"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민주당 내부에서 다양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민주당의 가치인 겸손과 포용의 가치를 다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법 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로 급한 불을 껐지만 민생이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고 지적했다.

김 전 총리는 "사태의 발단은 불법 계엄과 내란을 획책한 윤석열과 그 세력에 있지만 수습 과정에서 민주당이 좀 더 어른스럽게, 국가를 걱정하는 역할을 더 잘해주길 바랐던 국민에게 적잖은 실망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정치가 아무런 역할을 못하는 상황에서 헌정유린 세력을 옹호하는 강경 보수층이 결집하면서 정치적 분열과 대립이 심리적 내전 상태에 이르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 상황을 끝내야 한다"며 "헌정수호 세력을 하나로 묶어서 법과 절차에 따른 탄핵을 마무리 짓고, 갈라지고 찢어진 국민 마음을 안정시키고 새로운 한국을 출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대한민국의 길을 가려면 현재의 민주당만으로 가능하지 않다. 여러 헌정질서 수호 세력을 모아 더 큰 연대를 펼쳐야 한다"며 "민주당을 넘어서는 통합과 연대의 장을 만들기 위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김 전 총리는 "헌정질서를 짓밟는 절대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견제가 가능한 권력구조로의 개편을 포함해 국민소득 3만5000불 시대에 맞는 헌법, 지방분권이 포함된 헌법을 위해 개헌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그 로드맵을 제시하고 약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부겸 #수박 #개딸 #개혁의딸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