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트렌드전시회 가보니
경기 불황에 소비 한파 장기화
GS25·CU 가성비제품 앞세워
올영·다이소 등 경쟁사 공세에
건기식 라인업 늘려 고객 유치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대표 편의점들이 올해 출시할 신상품의 키워드로 일제히 가성비를 내세웠다. 고물가 시대에 조금이라도 싼 제품을 찾으려는 고객들을 정조준하고 나선 것이다. 편의점을 넘어 올리브영, 다이소와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고객층 확보하기 위한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양새다.
안 그래도 싼데 더 싸게...
CU는 올해 990원 핫바를 비롯해 자체 브랜드(PB)인 ‘득템’ 시리즈를 강화할 계획이다. 기존 CU에서 판매한 핫바 가격은 2500원이었다. 초저가 제품을 추가 출시해 가격과 양 때문에 기존 핫바 제품을 구매를 꺼렸던 고객을 신규로 잡겠다는 전략이다. 즉석조리 신제품으로는 3900원(소컵), 9900원(바스켓)에 판매하는 닭강정도 선보인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편의점에 이런 제품까지...
GS25는 신선식품의 카테고리를 강화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편의점에서 소포장 신선식품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GS25는 두부, 훈제 닭다리, 계란, 콩나물 등 각 카테고리별 1위 상품을 중심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콜드체인 기술을 활용해 신선도를 유지하는 데 집중한다. 오프라인 접근성이 좋은 편의점 특성을 살려 ‘내식’(집에서 먹는 식사) 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전략도 내놨다. GS25 관계자는 “슈퍼마켓의 신선식품 운영 노하우를 편의점에 접목해 신선식품 차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1~2인 가구를 위한 장보기 솔루션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편의점 업계가 올해 이같이 고물가를 염두해 관련 상품 확대에 주력하는 것은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소비 한파가 심해지는 가운데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올리브영이 헬스·뷰티뿐만 아니라 먹거리로 제품군을 확대하고, 초저가 제품들을 내세워 인기가 높은 다이소는 건강기능식품(건기식)까지 영역을 확장했다. 편의점 업계로서는 올해 수익성 확보가 과제일 수밖에 없다.
GS25 편의점사업부장을 맡고 있는 정춘호 부사장은 이날 현장에 참석해 “올해는 시장점유율 경쟁보다 점포당 수익성 상승 극대화를 목표로 도시락 등 간편 식품과 신선 식품 강화, O4O 전략 확대에 투자하려고 한다”면서 “출시 예정인 신상품 중에서는 1~2인 가구에 맞는 상품인 도시락과 신선 상품 쪽 먹거리가 큰 호응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도 “기존 경쟁사가 다른 편의점이었다면 이제는 올리브영, 다이소와 고객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며 “편의점들이 각종 뷰티 제품을 판매하고 갓챠(뽑기) 머신까지 선보이는 것도 2030 여성 등 고객층을 더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김지영 기자 jikim@sedaily.com김남명 기자 nam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