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금)

제주 4·3 희생자 신원, 조카 DNA로 확인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주공항 활주로 부지에 암매장

발굴 유해 중 270명은 신원불명

올해 손자 등 채혈로 신원 밝혀

제주 “유전자 검사 적극 참여를”

동아일보

2008년 제주국제공항에서 발굴된 4·3 희생자 유해. 제주도는 제주공항에서 총 388구의 희생자 유해를 발굴한 뒤 유가족 채혈을 통한 신원 확인에 나서고 있다. 제주4·3평화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커먼 아스팔트 활주로 밑바닥/반백 년 전/까닭도 모르게 생매장되면서 한 번 죽고/땅이 파헤쳐지면서 이래저래 헤갈라져 두 번 죽고/활주로가 뒤덮이면서 세 번 죽고/…육중한 몸뚱어리로 짓이길 때마다 다시 죽고/그때마다 산산이 부서지는 뼈소리 들린다/빠직 빠직 빠지지지직…’(김수열 ‘정뜨르 비행장’ 중)

연 3000만 명 가까이 이용하는 제주국제공항(옛 정뜨르 비행장)은 제주의 관문이자 제주를 찾은 관광객들이 설렌 마음으로 첫발을 내딛는 곳이다. 제주 관광의 상징으로 꼽히는 제주국제공항이지만, 70여 년 전 정뜨르 비행장일 때는 아비규환의 현장이었다. 제주 4·3사건 당시 군법회의(군사재판)와 예비검속 등으로 800여 명이 학살돼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 60년 만에 드러난 참상


정뜨르 비행장의 비극은 수많은 유족과 목격자에 의해 전해졌지만, 서슬 퍼런 군사정권과 국가의 최고급 보안시설이라는 이유로 유해 발굴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오랜 세월 유족들은 사망 일시와 장소, 시신 수습 여부 등을 전혀 알지 못해 생일날 제사를 지내거나 시신도 없는 헛무덤을 만들어 부모 형제를 기다렸다.

증언으로만 전해지던 대규모 집단 학살의 실체가 드러난 것은 4·3사건 발생 60년이 되던 해였다. 제주도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발굴 작업을 진행해 총 388구의 유해를 발견한 것이다. 떼죽음의 현장 앞에 유족과 도민들은 할 말을 잃었다. 당시 유해 발굴 현장에서 일손을 거든 4·3 유족은 “엉켜 있는 유골을 보면서 ‘자리젓’이 생각났다. 수십 년 뒤엉켜 있으니 살은 녹아 없어지고 뼈만 4겹, 5겹 뭉쳐 있으니 젓갈이 따로 없었다”고 회상했다.

제주도는 제주국제공항을 비롯해 화북천, 표선면 가시리, 안덕면 동광리 등 제주 곳곳에서 417구의 4·3 희생자 유해를 발굴했다. 현재 유가족 채혈을 통한 DNA 감식으로 총 147명의 신원이 확인돼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 가족을 기다리는 270명의 영혼


올해 4·3 유족에게 희망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방계가족의 채혈을 통해 유해의 신원 확인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18일 제주도에 따르면 2007년과 2008년 정뜨르 비행장 부지에서 각각 발굴한 유해 2구의 신원이 이달 확인됐다.

2007년 발굴된 유해는 제주시 한림면 저지리 출신 김희숙 씨(당시 27세)로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예비검속에 휘말려 섯알오름에 끌려갔다가 제주공항 부지에서 희생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발굴된 유해는 서귀포시 성산면 출신 강정호 씨(당시 22세)다. 강 씨는 국방경비대 제9연대 소속 군인으로 복무하다 1948년 행방불명된 이후 희생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9연대는 4·3사건 때 중산간 지역에서 초토화작전을 주도한 부대로, 1948년 제주 출신 9연대 군인들이 양민을 상대로 한 부당한 작전을 거부하고 탈영했다가 붙잡혀 사형당한 기록이 있다. 다만 강 씨가 탈영병 중 한 명이었는지, 제주 출신이라는 이유로 희생당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두 희생자의 신원 확인은 유가족의 적극적인 유전자 검사 참여 덕분이었다. 김 씨는 손자의 채혈을 통해, 강 씨는 조카의 채혈로 신원이 확인된 것이다. 제주도는 24일 제주4·3평화공원 평화교육센터 대강당에서 김 씨와 강 씨에 대한 신원 확인 보고회를 개최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유족들의 유전자 정보 확보를 위해 전국적인 홍보를 시행함은 물론이고 적극적인 채혈 참여를 독려해 더 많은 행방불명 희생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또한 도외 지역인 대전 골령골 학살터와 경산 코발트 광산, 전주 황방산 일대에 암매장된 유해 가운데 4·3 희생자도 포함됐을 것으로 판단해 유전자 감식 및 대조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