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과 러시아가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의 디리야 궁전에서 우크라이나전쟁 종전 협상을 시작하고 있다. 왼쪽부터 미국의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특사,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사우디의 모사드 빈 모하마드 알 아이반 국가안보보좌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외교 보좌관 유리 우샤코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2025.2.18 리야드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1차 고위급 협상이 약 5시간 만에 마무리됐다. 이날 협상은 종전안보다 얼어붙은 양국 관계 회복 및 개선에 무게가 실렸다.
로이터, 타스 통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회담한 뒤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한 고위급 팀을 각자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악화한 미·러 관계 개선을 위해 협의 메커니즘을 수립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날 사우디 리야드의 디리야 궁전에서 미·러 장관급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난 루비오 장관은 “오늘 회동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공정하고 지속가능하게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길고 어려운 여정의 첫걸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이어 지난 수년간 여러 조치로 양국 외교 공관 운영 능력이 저하됐다며, 대사관 인력 수를 복원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 |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가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의 디리야 궁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등 러시아 대표단과 만나 우크라이나전쟁 종식 등에 관해 논의한 후 인터뷰하고 있다. 2025.2.18 리야드 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와 관련해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사우디 회담을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하며, 양국 협상팀이 워싱턴, 모스크바 주재 각국 대사관 인력 복원 및 경제 협력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는 ▲양국 외교 공관 운영 정상화에 필요한 조처들을 취할 목적으로 양자 관계의 불편 요소를 해결할 협의 메커니즘을 설치한다 ▲고위급 팀을 꾸려 우크라이나 분쟁을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며 모든 당사자가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능한 한 빨리 종식시키기 위한 작업에 돌입한다 ▲우크라이나 분쟁의 성공적 종식 이후 나타날 상호 지정학적 이익 및 역사적 경제·투자 기회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기반을 마련한다 ▲이 과정이 적시에 생산적으로 진행되도록 지속해 관여하고 지원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루비오 장관은 다만 우크라이나 갈등에 연루된 모든 당사국이 해결책에 동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분쟁 종식은 우크라이나, 유럽, 러시아 등 당사국 모두가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어느 시점에는 유럽도 협상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러 외무 “美, 러 입장 이해하기 시작…유용한 협상했다”
![]() |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이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의 디리야 궁전에서 미국 협상팀과 만나 우크라이나전쟁 종식 및 양국 관계 개선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2025.2.18 리야드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대화는 매우 유익했다. 양측이 진심으로 서로를 경청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 측이 우리의 입장을 더 잘 이해했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며 이날 회담을 통해 러시아 측의 입장을 자세히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라브로프 장관은 미국 측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확장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러시아 연방의 이익과 주권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는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 우크라이나에 나토 회원국의 군이 배치되는 것은 그들이 어떤 국기를 달고 있더라도 러시아에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나토의 유럽 회원국들에선 종전 뒤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해 안보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는 이어 러시아와 미국이 각국 주재 대사관 운영을 정상화하기로 합의했으며, 주미 러시아대사와 주러시아 미국대사가 신속히 임명될 것이라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또 경제 협력의 장벽을 없애는 데도 큰 관심이 있었다며, 미국이 러시아에 부과한 제재를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권윤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