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뷰]
[앵커] 주52시간제 예외 규정을 둘러싼 이견으로 반도체특별법 합의가 결국 불발되자, 여야는 그 책임을 서로에게 돌리며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추경 등 주요 민생경제 현안을 둘러싼 신경전도 여전히 치열합니다.
정다예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의힘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에 한때 전향적인 입장을 취했다가 노동계 비판이 일자 말을 바꿨다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요즘 이재명 대표가 외치고 있는 ‘친기업’이니 ‘성장’은 거짓말입니다. 조기 대선을 겨냥해 표를 얻기 위한 기회주의적인 술책일 뿐입니다."
경쟁국은 밤낮없이 뛰는데, 민주당 때문에 한국 반도체 산업만 주52시간제에 묶여 있다고도 질타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반도체법이 산자위 법안소위를 통과하지 못한 건 "국민의힘의 고집 때문"이라고 반격했습니다.
<김원이 /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 52시간 근로 예외 조항 문제는 빼고, 합의된 내용을 분리해서 처리하자, 그래서 지금 목말라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에 도움이 좀 되자…"
이재명 대표도 국민의힘을 향해 "주52시간 예외 조항 없이 어떤 것도 합의할 수 없다는 무책임한 몽니"라고 비판했습니다.
추경의 경우, 일단 AI 예산 필요성에는 여야 공감대가 쌓이는 분위깁니다.
다만 '이재명표'로 꼽히는 민생회복 사업 예산을 두고 여전히 여야 이견이 큰 상황입니다.
공은 오는 목요일 첫 회담을 갖는 여야정 국정협의회로 넘어갔습니다.
주요 쟁점을 둘러싼 이견이 여전한 만큼, 벌써부터 '빈손 회동'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예(yeye@yna.co.kr)
[앵커] 주52시간제 예외 규정을 둘러싼 이견으로 반도체특별법 합의가 결국 불발되자, 여야는 그 책임을 서로에게 돌리며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추경 등 주요 민생경제 현안을 둘러싼 신경전도 여전히 치열합니다.
정다예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의힘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에 한때 전향적인 입장을 취했다가 노동계 비판이 일자 말을 바꿨다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성장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성장하는 건 '거짓말 리스트'라며, 이 대표의 최근 실용주의 행보를 맹비난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요즘 이재명 대표가 외치고 있는 ‘친기업’이니 ‘성장’은 거짓말입니다. 조기 대선을 겨냥해 표를 얻기 위한 기회주의적인 술책일 뿐입니다."
경쟁국은 밤낮없이 뛰는데, 민주당 때문에 한국 반도체 산업만 주52시간제에 묶여 있다고도 질타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반도체법이 산자위 법안소위를 통과하지 못한 건 "국민의힘의 고집 때문"이라고 반격했습니다.
반도체법의 본래 목적은 전력망 등 핵심인프라 지원이라며, 이를 포함해 합의된 부분부터 먼저 처리하면 된다고 주장한 겁니다.
<김원이 /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 52시간 근로 예외 조항 문제는 빼고, 합의된 내용을 분리해서 처리하자, 그래서 지금 목말라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에 도움이 좀 되자…"
이재명 대표도 국민의힘을 향해 "주52시간 예외 조항 없이 어떤 것도 합의할 수 없다는 무책임한 몽니"라고 비판했습니다.
추경의 경우, 일단 AI 예산 필요성에는 여야 공감대가 쌓이는 분위깁니다.
국민의힘은 당정협의회를 열고 2조원 규모 AI 추경을 제안했고, 민주당도 AI업계를 만나 신속한 추경 집행을 강조했습니다.
다만 '이재명표'로 꼽히는 민생회복 사업 예산을 두고 여전히 여야 이견이 큰 상황입니다.
공은 오는 목요일 첫 회담을 갖는 여야정 국정협의회로 넘어갔습니다.
주요 쟁점을 둘러싼 이견이 여전한 만큼, 벌써부터 '빈손 회동'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예(yeye@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