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모델보다 대부분 우위… 게임 혼합은 오픈AI 수준
"아직 훈련중" 베타버전 한계…음성 기능도 1주일 지연
유료 서비스도 접근성 낮춰…AI경쟁은 더욱 심화할 듯
![]() |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정부 정상회의 참석차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를 방문한 머스크 CEO는 한국 시간으로 18일 오후 1시 18분경 xAI 엔지니어 3명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그록3 시연회를 개최했다. 머스크 CEO는 이 자리에서 그록3와 다른 AI 모델들과 비교한 자체 평가 그래프를 보여주며 “수학, 과학 및 코딩에서 구글의 제미나이, 딥시크의 V3, 엔스로픽의 클로드, 오픈AI의 GPT-4o를 앞선다”며 “이전 모델(그록2)보다 10배 이상의 컴퓨팅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록3는 테트리스와 비주얼드(Bejeweled)를 합친 게임을 개발하라는 지시를 받은 뒤 약 10분 후에 결과물을 내놓으면서 이날 시연회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했다. 이에 대해 AI 선구자로도 잘 알려진 안드레이 카르파티 유레카 랩스 창립자는 “이 작업을 안정적이고 올바르게 하는 AI 모델은 거의 없다. 현재 오픈AI의 월 200달러짜리 고급 추론 모델만 가능하다”며 “전반적으로 그록3는 오픈AI의 o1-pro 성능과 비슷하고, 딥시크 R1보다는 앞선다”이라고 평가했다.
AI 스타트업 코히어의 에이단 고메즈 CEO도 X에 “그동안의 저격글에도 그록3는 멋져 보인다”며 회의적·비판적 전망을 제시했던 것을 사과했다.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압도적인 격차를 보여주진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기존 AI 모델에 익숙한 사용자를 끌어모으기엔 음성모드를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 AI 모델에 대한 훈련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점 등이 진입 장벽을 높이고 있다.
머스크 CEO는 이날 공개한 그록3에 대해 “한 달 전 사전 훈련을 완료했고, 지금은 추론 기능을 그록3 모델에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아직 초기 단계다. 오늘 보여드린 것은 추론 모델의 일부, 베타 버전으로 아직 훈련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론 모델의 미니 버전도 훈련하고 있다. 우리는 매일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문자 그대로 24시간 이내에 개선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훈련 종료까진 수개월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머스크 CEO는 또 “음성 모드는 아직 약간 불안정해서 아마 1주일 정도 후에 출시될 것 같다.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음성 상호작용 기능도 개발하고 있다. 오늘 미리 시도해 봤는데 정말 대단하다. 꽤나 잘 작동했지만 아직 다듬어야 할 부분이 있다. 목표는 진짜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만드는 것”이라며 “더욱 세련된 버전을 찾고 있다면 1주일 동안 기다릴 가치가 있다. 최고의 경험까진 약 1주일 남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음성 기능이 얼마나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킬지는 불분명하다. 아울러 AI 모델 경쟁에서 수개월은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다. 이에 업계에선 ‘가장 최근’에 공개된 AI 모델이기 때문에 성능이 우월한 것이 당연하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즉 경쟁사의 AI 모델 사용자들이 그록3로 갈아타기보다는 기존 모델의 업데이트 버전을 기다릴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것이다.
X의 프리미엄 플러스(+) 회원만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접근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프리미엄+는 광고 없이 X를 이용할 수 있는 등급으로, 미국 기준 월간 22달러, 연간 229달러의 구독료를 내야 한다. 하지만 이날 그록3 출시와 함께 각각 50달러, 350달러로 인상됐다. 머스크 CEO는 ‘수퍼 그록’이라는 신규 구독 서비스 출시 계획도 알렸다.
이외에도 그록3와 함께 공개된 스마트 검색 엔진 ‘딥서치’(DeepSearch)와 관련해 카르파티는 “퍼플렉시티의 심층 연구와 유사한 기능이지만, 오픈AI가 제공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짚었다.
한편 그록3 출시를 계기로 AI 기업들 간 챗봇 모델 경쟁이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머스크 CEO는 이날 그록3 훈련을 마치는 대로 이전 버전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최신 소형 AI 모델 등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수도 있다고 예고했다. 최근 중국의 딥시크가 오픈소스로 AI 모델을 출시해 세계적 돌풍을 일으킨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