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지난 13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에 출석한 윤 대통령. 헌법재판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당일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홍장원 당시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전화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 등에 대한 “위치 확인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원은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여 전 사령관에게 체포조 지원 요청을 받았다’는 홍 전 차장 진술을 반박했지만, 홍 전 차장 통화 상대방인 여 전 사령관 또한 비슷한 취지의 진술을 한 것이다.
18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에서 청구인인 국회 측은 여 전 사령관의 검찰 진술조서 일부를 공개했다. 조서를 보면 여 전 사령관은 “홍장원씨가 저에게 ‘뭐 도와줄 것이 없냐’고 얘기했다. 그래서 제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님이 명단 말씀해주신 것을 말했고, 어디있는지 위치 확인에 대한 얘기를 했던 것 같다”고 진술했다. 여 전 사령관은 “‘위치 확인을 도와달라’고 제가 얘기했던 것 같다”며 “홍장원과의 통화를 명확히 기억하는 이유는 그 사람이 일반 폰으로 전화를 했기 때문에 찜찜해서 기억이 났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공소장을 보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3일 오후 8시22분쯤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1~2시간 후에 중요하게 할 얘기가 있으니 전화기를 잘 들고 대기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후인 같은 날 오후 10시53분쯤 홍 전 차장에게 다시 전화해 “봤지? 비상계엄 발표하는 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고 지시했다.
홍 전 차장은 방첩사를 도울 내용을 묻기 위해 오후 11시6분쯤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홍 전 차장이 “대통령께서 방첩사 너희들을 지원해 주래”라고 하자 여 전 사령관이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김민석, 김어준, 조국, 박찬대, 정청래, 김명수, 권순일, 조해주, 김민웅’ 등을 불러주며 “1조, 2조가 축차 검거 후에 방첩사 구금시설에서 감금 조사할 예정이다. 지금 제일 급한 게 검거를 위한 위치 추적인데 위치 추적을 부탁드린다”고 했다는 게 홍 전 차장 진술이다. 홍 전 차장과 여 전 사령관이 당시 통화 내용을 비슷하게 기억하고 진술한 것이다.
하지만 통화 당사자도 아닌 윤 대통령은 이러한 진술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자신에 대한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에 대한 증인 신문이 끝난 뒤 “계엄이 선포되면 방첩사가 사실상 국정원의 우위에 있다”며 “담당인 (국정원) 2차장도 아닌 1차장한테 계엄 사안과 관련한 무슨 부탁을 한다는 게, 만약에 할 거면 방첩사령관은 국정원장한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홍 전 차장 주장)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유선희 기자 y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