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자급제폰·알뜰폰 확산에…'단통법' 폐지해도 보조금 출혈경쟁 없을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7월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법률)이 폐지되지만, 통신사 간 보조금 경쟁은 전처럼 치열하지 않을 전망이다. 비싼 통신사 요금제와 의무 약정기간을 피해 자급제 휴대폰을 구입하고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탓이다.

통신업계도 변화한 통신지형과 각사의 중점 사업을 고려해 마케팅 비용 지출에 신중을 기하고 기존 회원 이탈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을 우선시 할 전망이다.

18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오는 7월 22일부터 단통법이 폐지된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이전에 만연했던 출혈 보조금 경쟁은 없을 전망이다. 통신사의 비싼 요금제를 피한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비용 투입 대비 신규 고객 유치효과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장기화한 경기침체로 경영 효율화를 위한 마케팅 비용 또한 통신사의 난관이다.

자급제 단말기 이용률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자급제 단말기 이용률은 28%로 10명 중 3명은 자급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18.9%를 기록한 데 이어, 약 2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성장했다.

자급제 단말기는 이동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기기를 구입해 원하는 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를 뜻한다. 통신사를 통해 산 휴대폰과 달리 기본으로 깔려 있는 앱(APP)이 없고 통신사 간 이동이 유리해 가계 통신비를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급제 단말기의 통신사 이용 비중은 이통 3사가 17.2%에 불과한 반면, 알뜰폰은 91.9%에 달한다. 2023년 10월 기준 휴대폰 알뜰폰 가입자 수(회선 수 기준)는 860만명으로, 2022년 대비 130만 명 이상 증가한 수치다.

통신사의 회원 수도 줄었다. 유진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SK텔레콤은 2014년부터, KT는 2020년부터 가입자 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LG유플러스는 2014년 이후 가입자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알뜰폰 시장의 성장가도를 따라잡진 못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공시지원금이나 보조금 혜택 등 가입자 확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급제는 통신사에서도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대부분의 소비자가 알뜰폰 시장으로 넘어가는 것은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들은 이동통신 사업에서의 지형 변화를 받아들이며 더불어 과도한 마케팅 비용 지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보조금 경쟁을 했던 시기에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경험이 있는 탓이다.

지난 2008년에서 2010년 사이 보조금 경쟁이 전면 허용됐던 때, 통신3사의 마케팅 비용은 급증한 반면 수익성의 핵심지표인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급락했다. 반면 목표한 시장 점유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진 않았다.

통신사들은 과거와 달리 기존 회원에 대한 혜택을 늘려 이탈을 막는 록인(Lock-In) 전략을 취하는 모습이다. 보조금 중심의 가격 경쟁 대신 결합상품, 장기가입혜택, 부가혜택 등 다양한 형태의 인센티브를 지급해 이동을 막는다는 방침이다.

유진투자증권 이찬영 연구원은 "통신업 자체에서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계속 축소되며 영업 성과 중요도가 다소 하락했다"며 "과거 매출 성장을 전적으로 견인하던 이동통신 사업과 달리, 현재는 통신업 외에도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 영역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정성용 마케팅전략팀장은 "현재 (통신) 시장 상황은 과거 단통법 도입시기와 많이 다르다. 단말기 출고가가 지속 상승하고 고객의 단말기 교체주기도 길어지면서 전체적인 시장 상황이 안정되고 시장 규모도 작아졌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