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6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한은 총재 “금리 인하 방향 공감대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창용 총재, 18일 국회 기재위 출석

저조한 성장률 “절반 정도는 계엄 여파”

헤럴드경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이상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기준금리 인하 관련 “금리 인하 방향은 공감대가 있다”면서도 여러 변수를 보고 결정 시점을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경기 침체 우려를 기준금리 인하로 타개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금리인하 사이클이 있고 금리 인하 방향은 공감대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어느 달에 할 지 시점에 관해서는 여러 변수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에 대해선 비상계엄 여파와 미국 금리 정책의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을 다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성장률은) 지금 다시 보고 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 외에 미국의 경제정책이라든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장률이 저조한 이유에 대해선 “절반 정도는 계엄 및 정치 불확실성에 의한 소비 심리 하락 등에 따른 투자 지출 저하 영향”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11월 한은은 작년 성장률 전망치로 2.2%를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0.2%포인트 낮은 2.0%에 그쳤다. 특히 4분기 성장률은 당시 한은의 전망치(0.5%)보다 0.4%포인트나 밑돌았다.

이 총재의 발언대로 이를 분석하면 비상계엄이 우리나라 성장률을 0.2%포인트 낮췄다는 얘기가 된다.

물가 안정은 기준금리뿐만 아니라 수입 확대 등 구조적 해법도 같이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미 높아진 물가 수준을 금리 만으로 낮출 순 없단 얘기다.

이 총재는 “저가 상품의 물가 수준이 높은 것은 수입을 더 확대하는 등 구조 개혁 없이는 단기간에 해결하기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며 “물가 수준은 금리 정책에 더해 수입을 확대한다든지 구조 개혁 없이는 단기간 해결이 어렵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