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2 (토)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이재용, 이사회 복귀 필요…檢 상고는 아쉬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용 등기임원 복귀해야…컨트롤타워 재건도”

“자유로운 활동 위한 사법부 현명한 판결 기대”

헤럴드경제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 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 및 회계부정 사건을 두고 검찰이 상고한 것에 대해 아쉽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지속되는 사법 리스크로 이재용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무산된 가운데 이찬희 위원장은 책임경영 차원에서 이 회장의 이사회 복귀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의 준법경영을 감시하는 이찬희 위원장은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리는 정기 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최근 삼성을 둘러싼 주요 현안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법조인이기도 한 이 위원장은 특히 이 회장 사건이 대법원으로 넘어간 것에 대해 “검찰도 많은 고민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검찰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용기 있는 선택을 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많이 아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변호사협회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서 우리 사법부를 전적으로 신뢰한다”며 “조만간 신속하고도 현명한 판결로 경제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들어 주실 거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검찰의 상고로 이 회장 사건에 대한 심리가 길어지면서 이 회장의 삼성전자 이사회 복귀도 불발됐다.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에 상정할 안건을 결의했으나 이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안은 빠졌다.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투자자들과의 관계라든지 사법 리스크라든지 여러 장애물 때문에 (삼성전자가) 신중한 고민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는 견해를 내놨다.

그러면서 “삼성의 사외이사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분들로 구성돼 있다. 회사를 향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 분들”이라며 “(이 회장이) 그런 분들과 자주 소통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으면 하는 생각에서 등기임원 복귀를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헤럴드경제

지난해 4월 이재용(왼쪽 두 번째) 삼성전자 회장과 송재혁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독일 오버코헨 자이스(ZEISS) 본사를 방문해 경영진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회장이 전면에 나서 지휘해주길 요구하는 내부 목소리를 전달하고 싶어 등기임원 복귀를 말씀드리는데 회사에서는 저보다 훨씬 더 많은 고민을 하고 신중하게 고려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이 회장의 항소심 무죄 선고 이후 재계가 주목하고 있는 ‘삼성그룹 컨트롤 타워 재건’에 대해선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차 내놨다.

이 위원장은 “컨트롤 타워는 저희 준감위 내부에서도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여러 관점에서 평가되는 부분”이라며 “개인적으로 여러 차례 말씀 말씀드렸듯이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만들고 이끌어 나갈지는 회사에서 많은 고려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삼성을 둘러싸고 안팎에서 제기되는 위기론에 대해 이 위원장은 “이 위기를 극복해야 된다는 총의가 내외에서 모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이슈들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할 지가 관건이다. 잘 극복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답했다.

한편, 삼성전자 이사회는 다음달 19일 열리는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 반도체 수장인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과 송재혁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반도체연구소장(사장)의 사내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전영현 부회장과 송재혁 사장이 이사회에 합류하면 가전·TV 사업을 담당하는 DX부문과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DS부문의 담당 사내이사가 2명씩 동수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 한국공학한림원의 반도체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혁재 서울대 교수가 신규 사외이사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반도체 핵심 경영진 2인과 이혁재 교수의 합류로 삼성전자 이사회는 정체된 반도체 사업의 반등을 위한 의사결정 기능을 보다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삼성전자 사외이사진을 두고 제기된 반도체 전문가 공백 문제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