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된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새벽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당일 해제 요구 결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된 직후 윤석열 대통령이 합동참모본부 지하 결심지원실에서 나올 때 '술 냄새가 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CBS 유튜브 채널 '질문하는 기자'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당일 결심지원실에서 나올 때 술 냄새가 났다고 한다"며 당시 현장에 있던 군사경찰의 제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합동참모총장 지휘통제실에 군사경찰이 들어가 있었고, 결심지원실 옆에 있던 증언자가 윤 대통령이 그곳에서 나올 때 술 냄새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안에서 마셨는지 대통령실에서 마셨는지 모르겠지만, 분명히 술 냄새가 났다는 것이 군사경찰의 증언"이라고 덧붙였다.
결심지원실은 국회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쯤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후, 윤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최병옥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등 소수만 모아놓고 대책 회의를 진행한 곳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윤 대통령이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에도 바로 계엄 해제를 발표하지 않고 4일 새벽 1시 16분부터 약 30분간 회의를 진행했다는 내용의 진술을 확보했다.
JTBC에 따르면 김철진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은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김 전 장관에게 "(국회에) 1,000명을 보냈어야지. 이제 어떡할 거야?"라고 질책했다고 진술했다. 이는 '군이 비상계엄을 제대로 따르지 않을 것을 알고 국회에 보냈다'는 윤 대통령의 주장과 배치된다.
김 보좌관은 윤 대통령이 새벽 1시 50분쯤 결심지원실을 떠났고 김 전 장관은 이후 여러 사람과 통화했는데, 이 가운데 한 사람과의 통화에서 "응, 상원아. 이제 더 이상 어떻게 하냐?"라고 말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이는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김 전 장관이 계엄 과정에서 긴밀하게 소통했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김 보좌관은 사태 이후 "통화한 이가 '노상원이 맞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했다. 이후 김 전 장관은 새벽 2시 13분즈음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에게 중앙선관위원회에 병력을 재차 투입할 수 있는지 문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관기사
• "이게 나라냐" 尹 격노에 움직인 김용현... 불법계엄 이렇게 시작됐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417230000877)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417230000877)
• "문제 있었다" 국무위원들 진술 넘치는데... 尹·김용현 보란 듯 궤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3114550004844)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3114550004844)
박소영 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