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단독]초·중·고 교사 질병휴직 비율, 초등교사만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고등 교사 비율은 감소

초등교사 학부모 민원 노출

"학대 의심 신고 비율 훨씬 높아"

지난해 질병 휴직 교사의 60% 이상이 초등학교 교사이며 중·고등 교사의 질병 휴직 비율은 감소하는 데 반해 초등교사만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8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질병 휴직한 전체 교원 1973명 중 초등학교 교사가 1272명으로 64.4%에 달했다. 중학교 교사는 20.9%(412명), 고등학교 교사는 14.6%(289명)였다.

전체 질병 휴직 교사는 2019년 1901명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전후로 감소해 2021년 1182명까지 줄었다. 그러다가 다시 매년 증가(1313명→1447명→1973명)했는데, 이런 흐름을 주도한 학급은 초등학교였다. 같은 해 초등교사의 질병 휴직은 2019년 1085명에서 2021년 687명까지 감소했다가 3년 사이 두 배(1272명) 늘었다.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세를 보였다. 질병 휴직한 초등교사는 2019년 전체 비중의 57.1%에서 지난해 64.4%로 7.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중등교사는 22.4%에서 20.9%로 1.5%포인트, 고등교사는 20.5%에서 14.6%로 5.9%포인트씩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이처럼 초등교사의 질병 휴직이 두드러진 것은 학부모 민원에 더 많이 노출돼 있다는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정혜영 서울교사노동조합 대변인은 "중·고등학교에 가면 성적, 입시 문제에 집중하기 때문에 민원은 적어지는데 초등학교는 어린이집, 유치원 때부터 시작된 민원이 이어진다"며 "교권 침해 추이와 교사들의 질병 휴직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아동학대 의심으로 신고하는 비율도 초등학교가 훨씬 높다"면서 "비슷한 비율로 부적격 교원 민원도 더 많이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