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전경. [국가유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5~6세기 가야 연맹을 이끌었던 대가야의 왕성이 남아 있는 경북 고령군이 고도(古都)가 됐다.
국가유산청은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을 일부 개정해 고령 대가야를 신규 고도로 지정했다고 18일 밝혔다. 21년 만에 지정된 다섯번째 고도다.
고도는 과거 우리 민족의 정치·문화 중심지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지역을 말한다.
앞서 정부는 2004년 3월 ‘고도 보존에 관한 특별법’(현재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하면서 경주와 부여, 공주, 익산 등 4곳을 고도로 처음 지정했다. 고도로 지정되면 지역 내 주거 환경이나 가로 경관 개선 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고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과 유적을 활용한 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업도 추진할 수 있다.
![]() |
고령 시가지와 주산성 전경. [국가유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보물로 지정된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 [국가유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가야는 고대 한반도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에 버금갈 정도로 발전된 국가였다. 왕위 세습체계, 중국식 왕호(王號)의 사용, 예악문화(가야금과 우륵 12곡), 시조탄생 신화(정견모주 신화), 매장의례(순장)를 갖춘 중앙집권적 국가로 5세기 후반에는 합천, 거창, 함양, 산청, 하동, 남원, 순천, 광양 등지까지 영역이 확장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령은 그중에서도 정치·문화 중심지였다.
대가야의 도성(都城) 체계를 보여주는 궁성지, 왕궁 방어성(주산성), 수로 교통 유적, 금관 및 ‘대왕(大王)명’ 토기, 토기 가마 등이 현재까지 잘 남아 있다. 지난해에는 대가야 최고 지배층이 묻힌 무덤으로 추정되는 지산동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1978년 지산동 고분군 32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대가야의 금속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로서 보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신규 고도 지정으로 국가유산 보존정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고도의 보존·육성에 대한 정책 기조를 확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