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서 밝혀
![]()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조치에 대해 “분명히 잘못했다”면서도, 대통령의 하야(下野) 가능성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옳은 방법도 아니다”라고 17일 밝혔다.
권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권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분명히 잘못했다. 과도한 조치였다고 생각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의 무도한 행태들을 감안하더라도 비상계엄으로 거기에 대처하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였다”고 했다. 다만 계엄 조치의 위헌성과 관련해서는 “헌법재판소에서 심리가 계속되는 중에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정 전 하야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하야가 법률적·헌법적으로 가능하냐를 별개로 해도, 하야했을 경우 이런 모든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런 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고려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옳은 방법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헌재를 둘러싼 불공정 시비와 관련해 “앞으로 가장 중요한 과제는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온 이후 갈라진 민심을 다시 모으고 국가적 혼란을 최소화하는 일”이라며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헌재의 탄핵 심판이 불공정하다는 의견이 과반에 육박하고 있다”고 했다. 권 위원장은 “탄핵 심판 판결이 갈등의 종결이 아니라 더 큰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할 수밖에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헌법재판관들께서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해 주실 것을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권 위원장은 12·3 계엄 이전의 상황과 관련해 “공직자 줄탄핵에 방탄 입법, 핵심 예산 무차별 삭감까지 과연 국민을 위한 정치였느냐”며 “(민주당이) 계엄 이후에도 갈등과 혼란을 증폭시키고 분노를 부추기는 데만 힘을 쏟고 있지는 않느냐”고 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에 국민의힘 일부 의원만 참석한 것과 관련해서는 “제가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계엄 사유 등) 아직 그게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한다는 것은 여당으로서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가 저랑 똑같은 정보만 가지고 있었을 텐데 바로 ‘위헌이고 위법’이라고 얘기한 부분에 대해서는 성급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권 위원장은 작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패배한 책임과 관련해서는 “대통령과 대표(한동훈) 간 갈등 부분도 굉장히 컸다”고 했다.
[권순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